이어 “반도체 응용처 시장은 2020년 4600억달러(약 537조원)에서 2025년 6500억달러(약 759조원)로 늘어날 전망이다. 메모리 역시 스마트폰 출현, 데이터센터 발전에 이어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 등으로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시장 수요 대응을 위한 메모리 용량 증대와 처리 속도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근 반도체 업계는 공정 및 소재 혁신을 통한 반도체 미세화 한계를 극복하고 성능과 전력효율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 중이다.
이 사장은 메모리 AI 프로세서 기능을 더한 지능형 반도체(PIM)와 메모리 용량을 확장하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 등을 소개했다. 같은 맥락에서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 극자외선(EUV) 공정을 D램에 적용했다. 지난 12일에는 EUV 기반 14나노미터(nm) D램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업계 최선단 공정이다.
이 사장은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반도체 업계가 당면한 기술적 난제를 극복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소재 부품 장비 등 전 분야의 걸친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인력양성과 산학협력 등에도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탄소 중립을 위한 노력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사장은 “저전력 반도체를 개발하고 제품 생산부터 폐기까지 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등 미래 지구환경을 위해 적극적인 시도가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SKB 지분 인수 목적"
2025-04-25 08:53:22“멀티호밍 시대, 정부 시청자 방송채널 선택권 확대해야”
2025-04-24 22:53:07[DD퇴근길] 김우빈 vs 손흥민 vs 뷔…저가커피 모델 승자는?
2025-04-24 17:06:44NS홈쇼핑, 25일 ‘천년동안 먹는 해양 심층수’ 론칭
2025-04-24 16:32:43[현장] “장관도 AI와 덩실덩실”…통신사 ‘AI 브랜드 전쟁’ 한바탕
2025-04-24 15:39:00"대기업·빅테크 대표까지"…리멤버 커넥트, 전문가 사전등록 4만명 돌파
2025-04-25 09:02:24위기의 유튜브…20주년 맞았지만 '끼워팔기' 논란과 '분할 위기' 그림자
2025-04-24 18:00:33法, '이정재 대주주' 아티스트컴퍼니 손 들었다…"신주발행, 문제 無"
2025-04-24 16:48:58넷플릭스 '탄금' vs 디즈니+ '나인퍼즐'…5월 韓 오리지널 격돌
2025-04-24 11:34:24문체부, 애니메이션 산업에 1500억원 투자한다…‘IP 강국’ 도약 시동
2025-04-24 11:29:42놀유니버스, NOL 브랜드 출범 기념 ‘NOL 페스티벌’ 국내편 개최
2025-04-24 10:2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