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가상자산 시장 규모가 커질수록 가상자산을 활용한 다양한 금융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나, 거래소 또는 기업이 주도해 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하는 크립토 금융 서비스 등으로 분류된다.
중개자 없이 블록체인의 스마트컨트랙트만으로 동작하는 디파이는 그만큼 높은 이자율을 보장한다. 잘 알려진 디파이 서비스 중에서도 연 30~40%를 내세운 서비스들이 많다. 그러나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스마트컨트랙트의 보안 취약점을 공격하는 해킹이 이미 수차례 발생했으며, 해킹으로 예치금을 탈취당한 사례도 여러 번 보고됐다.
때문에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선 이자율은 낮지만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다. 기업이 운영하는 크립토 금융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가상자산에 대한 이자를 얻고, 디파이의 리스크는 피하는 방식이다.
샌드뱅크 운영사 디에이그라운드의 이현명 대표는 “가상자산 투자자들마다 투자 성향이 다 다르다”며 “리스크에 노출되면서 수익을 높이는 방식보다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일정 수익을 얻고 싶은 투자자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런 투자자들을 타겟으로 하겠다는 포부다.
◆코인원 출신들이 모여 창업…왜 거래소 떠나 ‘크립토 금융’ 택했나
디에이그라운드는 ‘가상자산 재테크 서비스’를 표방하는 샌드뱅크의 운영사다. 국내 대형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원 출신들이 창업했다. 샌드뱅크는 가상자산을 예치하면 이자를 주는 크립토 금융 서비스다.
거래소를 퇴사하고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를 만들게 된 계기에 대해 이 대표는 “코인원 입사 전 증권사에서 파생상품 개발을 담당했다”며 “금융 쪽을 접한 후 가상자산 거래소로 넘어오면서 가상자산 분야에서도 금융 서비스들이 많이 나올 것이라 생각했다”고 밝혔다.
고객의 가상자산을 운용해 수익을 내고,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서비스의 특성 상 거래소에서 이를 개발하기는 쉽지 않았다. 거래소를 떠나 금융의 영역에 가상자산을 접목하기로 한 배경이다.
그렇게 탄생한 샌드뱅크는 고객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테더(USDT) 등 가상자산을 예치하면 이를 운용해 이자를 지급한다. 30일 락업 상품 기준으로 테더는 10%,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5.5%의 이자율을 제공한다.
이 때 운용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한다. 이 대표는 “24시간 돌아가는 알고리즘 거래 봇을 활용하고 있다”며 “수익적인 관점으로만 보면 좀 더 공격적인 투자 방법을 쓸 수 있지만 최대한 중장기적으로, 또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운용 방식을 설계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현재 샌드뱅크는 고객 1300여명, 예치 자산 규모 180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 대표는 “앞으로 리플(XRP)을 비롯한 다른 가상자산을 추가로 지원해 고객 수를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디파이는 물론 다른 금융 서비스와도 경쟁…“UX‧낮은 리스크가 경쟁력”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넘어, 앞으로 샌드뱅크는 범람하는 디파이 서비스들 속에서도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 물론 디파이는 크립토 금융 서비스에 비해 리스크가 크지만, 동시에 이자율도 높으므로 투자자들에겐 매력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듯 샌드뱅크는 안정적인 서비스를 원하는 투자자를 타겟으로 하면서도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구성하고자 하는 투자자도 공략할 예정이다. 투자금 중 일부는 거래소 내 지갑 또는 디파이 서비스에 두고, 또 다른 일부는 샌드뱅크와 같은 크립토 금융 서비스에 예치할 수 있게끔 하겠다는 전략이다.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투자자들은 대부분 비트코인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들이다. 이 대표는 “샌드뱅크 앱을 처음 켜면 비트코인이 얼마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지 묻는 질문이 나온다”며 “장기적으로 가격 상승을 믿는 투자자들은 매월 일정 금액씩 적립식으로 투자를 하기도 하고, 적은 리스크를 선호하는 편이다. 그런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4분기 내에 거래소나 메타마스크 같은 가상자산 지갑에 퍼져있는 자산들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라며 “1000만원 어치 가상자산이 있다면 그 중 300만원 정도는 샌드뱅크에 예치할 수 있게끔 투자자를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디파이만 경쟁자인 것은 아니다. 샌드뱅크처럼 기업이 중앙화된 방식으로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들도 늘고 있다. 최근에는 거래소들 역시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쟁자가 늘어난 셈이다.
이 대표는 편리한 UX(사용자경험)와 리스크가 낮은 운용방식을 경쟁력으로 내세웠다. 그는 “샌드뱅크 모바일 앱을 4월에 출시했는데, 앱 기반 사용성에 만족하는 고객들이 많다”며 “자금을 예치해 이자를 얻는 게 메인 서비스이지만 사용자경험 자체가 불편하면 안된다는 생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애플' 美 대규모 투자, 트럼프 덕?…스벅, 아메리카노 가격 오른다
2025-01-20 17:07:39쇼핑엔티, 설 수요 높은 농축수산물 할인 판매…“정부와 합심해 지원”
2025-01-20 17:03:41[오징어게임2 이펙트] 기대효과 반감?…'엑스오, 키티2', 3일 연속 1위
2025-01-20 17:02:09김태규 직무대행 "TV수신료 통합징수시 혼란 발생할 것"
2025-01-20 16:24:3923일 이진숙 위원장 운명의 날…헌재, 탄핵심판 선고일 확정
2025-01-20 15:35:00가온전선, 연 매출 사상 최고치 경신…"북미 수출·지앤피 실적↑"
2025-01-20 14:50:59"틱톡 따라잡기"...인스타그램 피드 비율 개편에 사용자 원성
2025-01-20 21:38:16넥슨 ‘드리프트’, 오버 드라이브 전환… 반등 질주 시작하나
2025-01-20 14:51:30행안부, 카톡 알림톡 도입했더니…행정 예산 연 40억원 절감
2025-01-20 14:51:12“더 짧고 재밌게”…네이버, 새해도 숏폼·AI 갈고닦기
2025-01-20 14: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