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AI

'스마트 건설' 혁신 바람, 산업재해 사망자 과연 줄일 수 있을까

사진은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일뿐 기사 내용과 직접 연관된 바 없다.
사진은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일뿐 기사 내용과 직접 연관된 바 없다.

[디지털데일리 강민혜 기자] 국내 대규모 건설업체들은 현재 스마트 혁신에 한창이다. 건설사들은 ▲사물인터넷 활용 ▲업무자동화 프로그램(RPA) 도입에 4족 보행 로봇을 세우거나 인공지능을 활용한 업무 지원시스템을 활용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건설업계의 스마트 혁신은 아직은 당장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고비용 저효율' 전략에 머물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진단이다. “당장은 프로그램 구축과 그에 따른 연구 개발(R&D)에 들어가는 비용이 높아 유지 차원서 비용 절감을 당장 볼 수는 없다”는 설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업계가 스마트 혁신에 나서는 이유는 재해 예방 효과가 크다는 믿음때문이다. 재해 예방효과를 끌어올리는 것 자체로 의미가 크다. 건설현장에서의 인재사고, 즉 사망사고와 같은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이는 수주에 나서야하는 건설사들에게 치명적인 감점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 관계자에 따르면, 건설업계서 사고사망자수가 증가하는데 따라 불이익을 관급공사 신청시 불이익, 사고사망자 발생에 따른 도급계약 경쟁력 하락 등의 불이익은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스마트 기술을 건설현장에 투입했을 경우, 과연 재해예방 효과가 있다는 것이 사실일까.

현행 규정상 개별 건설사별로 재해 사망자 발생건수는 발표하지는 않는다. 건설업을 통틀어 전체 사망주 숫자만 발표된다. 따라서 개별 건설사별로 '스마트건설'부문에 얼마를 투입했는데, 그 결과 어느정도의 재해예방효과가 실증적으로 나타났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 전체 사고사망자는 458명에 달한다. 지난 2019년 대비해 30명 증가한 수치다. 흥미로운 점은 1~20억원 미만 공사현장에서 170명, 20~120억원 미만 공사현장에서는 81명의 사고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8명, 10명 증가한 숫자다. 상대적으로 공사규모가 큰 공사현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사망자가 적다. 특히 120억원 이상 대형 공사현장에서는 사고사망자가 91명 발생했다. 오히려 전년대비 20명 감소했다.

다만, 건설업계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대형 건설사들일수록 스마트건설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그 결과 재해도 줄어드는 인과성을 갖게될 것이란 추론이다.

실제로 국내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대규모 공사를 수주할 정도의 기업에서는 사실 사고사망자수가 많지 않다"며 "정부 규제와 스마트 혁신 움직임이 관련 있는지 상황마다 다르기때문에 잘 모르겠지만 방향은 긍정적이라고 본다"고 답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스마트 혁신은 건설업계 특성상 비용 절감 등을 위해 할 수 밖에 없는 수순"이라며 "아직 유효하게 재해예방 효과를 보고 있는 곳을 파악할 수는 없는 상황이지만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전략인 것은 확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월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공사 주체 규모별 새 관리감독 계획을 발표하며 산업재해 축소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규모 업체도 정부로부터의 관할 페널티에 변경이 생겼다. 기존엔 사망사고 두 건 이상 발생시 본사 현장 감독이 도입됐다. 두 건 발생시부터 단계별로 ▲경고 ▲대책 발표 ▲현장 기획 감독 ▲본사 감독 ▲CEO 면담 순으로 이어갔다.

그러나 올해부턴 두 건 이상 발생시 바로 ▲본사 현장 감독 ▲CEO 면담에 돌입한다. 또한 ▲관련 부서 ▲사업팀 ▲안전팀 등 본사를 감독하며 안전 관리 규정 등을 확인하고 현장도 본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산업재해 줄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부 분위기상 관련 규제가 강화됐다"고 전했다.

<강민혜 기자> mineral@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