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털 방식 '최저 수수료' 언급한 위메프, 네이버 반발 이유는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이커머스 업계에서 판매자 친화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 우수 판매자 유치를 위해 상품군별 차등 수수료를 없애고 수수료율 자체를 줄이기도 한다. 위메프는 이러한 방식을 적용해 오픈마켓 간 경쟁에서 벗어나 포털 사업자들과도 겨룬다는 방침이다. 새롭게 제시한 판매 수수료 정책이 실효성을 거둘지 주목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위메프는 네이버·카카오가 적용한 정률 수수료를 적용해 다른 오픈마켓과 차별화한다고 밝혔다. 기존 오픈마켓 사업자들은 상품군별 수수료를 차등해 받고 있다. 위메프는 여기에 판매 수수료를 2.9%로 제시하며 5% 이상 수수료를 적용하는 네이버·카카오와 비교해도 업계 최저치라고 강조했다.
단 위메프의 업계 최저치 수수료 설명에 네이버·카카오는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모든 판매자가 5%대 수수료를 적용받는 것은 아니라는 것. 특히 네이버스토어에선 판매자 매출 및 전략에 따라 위메프보다도 저렴한 수수료가 적용될 수 있다.
판매 수수료는 크게 결제수수료와 노출(매출연동)수수료로 구성된다. 위메프 설명에 따르면 네이버는 신용카드 기준 3.74%+노출 수수료 2%로 5.75%, 카카오는 결제수수료 3.5%+노출 수수료 2%로 5.5%다. 여기서 부가가치세(VAT) 별도라는 점을 감안해 최종 판매 수수료를 위메프 2.9%, 네이버 5.22%, 카카오 5%로 계산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기업은행에 AI 피싱탐지 기술 적용…“사전테스트서 6억원 손실 예방”
2025-04-08 09:46:18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저작권 단체, 문체부 시정 명령 무시...음저협 회장은 보수 79% 인상
2025-04-08 11:00:22위믹스 상폐 우려... 한국 블록체인 게임 시장 뒷걸음질할라
2025-04-08 10:59:21‘국민게임의 귀환’ 블로믹스,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2025-04-08 10:05:21김병기 의원, 게임이용자 보호를 위한 게임산업법 대표발의
2025-04-08 09:42:18[단독] 남성판 '호텔 델루나'…신작 '그랜드 갤럭시' 넷플릭스行
2025-04-07 17:3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