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방송

티빙에 ‘합병’ 러브콜 보낸 웨이브, SKT “넷플릭스 이기는 방법”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넷플릭스 등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를 상대로 한국 OTT가 승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합병이다. 웨이브와 티빙이 합병하면, 바로 이길 수 있다.”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대표 겸 콘텐츠웨이브 이사는 23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뉴노멀시대 OTT 비즈니스 모델 재정립’ 세미나에서 <디지털데일리>와 만나 웨이브와 티빙 간 합병을 희망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유 사업대표는 구글 유튜브‧넷플릭스와 같은 거대 OTT와 상대하는 한국 OTT가 시장에서 생존하려면 ‘단일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웨이브, 티빙과 합병 희망 “각자도생 전략 꾀하다 1년 내 망해”=유 사업대표는 SK텔레콤이 지상파3사와 합작한 ‘웨이브’와 CJ ENM과 JTBC 간 합작법인을 꾀하고 있는 ‘티빙’ 간 결합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상파3사와 국내 대표 대형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종합편성채널(종편) 콘텐츠까지 아우르면서 해외까지 노릴 수 있는 K-OTT 플랫폼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 유 사업대표는 “플랫폼을 만들든 서로 콘텐츠를 교환하든, 가장 좋은 방법은 합병이다. 넷플릭스를 상대로 단일화해도 이길까 말까 하는데, 각각 떨어져 있으니 이대로 가면 1년 내 망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굉장히 강하게 있다”며 “(웨이브, 티빙) 콘텐츠가 다 있고, 통신회사가 판매하고 기술을 넣는다면 넷플릭스를 이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합병의 경우, 웨이브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만큼 사실상 열쇠는 티빙이 쥐고 있다.

유 사업대표는 “웨이브는 (국내 다른 OTT와) 합병할 생각이 있고, 하자고 말도 많이 했다”며 “티빙과 (합병) 논의는 없지는 않겠지만, 아직은 때가 아니라고 한다. 웨이브는 하고 싶어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 OTT 단일화는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고려할 만하다. 분산된 OTT로 각자의 전략을 모색하기 보다, 힘을 합해 글로벌 OTT에 대응하고 해외시장에 한국 콘텐츠를 수출하는 활로를 만들 수 있다.

◆SKT, “넷플릭스 받아 쉽게 장사 안한다”…중요한 건 한국 콘텐츠 생태계=유 사업대표는 “SK텔레콤도 넷플릭스 받아 쉽게 장사할 수 있다. 그러면 결국 모두 넷플릭스판이 될 것”이라며 “지금은 한국 콘텐츠에 잘해주는 것처럼 보여도 시장을 장악하면 결국 식민지처럼 종속돼 한국 콘텐츠 생태계 다 망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한국 OTT는 사실상 위기라는 진단이다. 국내 OTT가 살아남는 방법을 하루빨리 강구하지 않으면, 글로벌 사업자들이 시장을 장악해 독점적 이득을 취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유 사업대표는 “K-OTT 사정은 녹록지 않다. 거대 자본력을 앞세운 해외 OTT 사업자와의 경쟁에서 한계에 직면했고, 기업별 파편화된 OTT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경쟁력도 약해지고 있다”며 “소비자는 여러 서비스에 가입해야만 모든 한국 콘텐츠를 볼 수 있어, 요금 부담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해 “장기화될 경우 국내 미디어 종속, 우리나라 문화적 주권 상실할 수 있다”며 “사업자와 정부가 국내 미디어 콘텐츠 생태계 보호하고 육성에 힘써야 한다”고 말을 보탰다.

유 사업대표는 아이폰과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예로 들었다. 과거 아이폰이 한국에 들어왔을 때 SK텔레콤은 삼성과 옴니아를 만들며, 실패를 경험했다. 하지만 이를 발판으로 현재 ‘갤럭시’ 브랜드가 탄생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유 사업대표는 “그 때 SK텔레콤이 아이폰을 받았다면, 한국시장 65%를 삼성이 아닌 애플이 차지하고 있었을 것”이라며 “구글 플레이스토어는 앱 개발사에게 매출액 30%를 수수료로 요구한다. 통신사 앱마켓은 15~20% 수준이라, 사람들이 최근 관심을 보인다”며 “세계적으로 자체 앱마켓을 가지고 있는 나라도, 넷플릭스에 대항하려는 나라도 한국뿐”이라고 설명했다.

◆SKT, 대규모 민‧관 합동 대규모 K콘텐츠 펀드 조성 제안=이와 함께 유 사업대표는 이날 행사에서 축사를 통해 정부에 민‧관 합동 대규모 펀드를 조성해 대작을 자체 제작하고, 합작 플랫폼을 통해 해외진출 추진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발언했다. 여기에 SK텔레콤이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유 사업대표는 “콘텐츠는 곧 외교이자, 국가 브랜드 위상을 높이는 핵심 자산이다. 비대면 문화 확산으로 미디어 성장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며 “콘텐츠는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만큼 경쟁력 있다. 세계시장을 한류로 다시 한번 물들게 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초협력을 통해 재도약 발판을 마련하고, 정부는 과감한 육성정책을 펼칠 것을 요청했다.

유 사업대표는 “글로벌 OTT와 경쟁하려면, 사업자 협력만으로 부족하다”며 “수출 드라이브 정책으로 오일쇼크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2000년대 IT벤처산업 활성화 통해 성장 발판을 마련한 것처럼 현재 국내 콘텐츠 정부 정책적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