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유료방송 시장에 M&A 열풍이 불고 있다. LG유플러스의 CJ헬로 지분인수를 시작으로 SK텔레콤도 자회사 SK브로드밴드와 태광그룹 티브로드와 합병을 추진 중이다.
지난 2016년 공정거래위원회의 불허결정으로 SK텔레콤의 CJ헬로 인수합병이 무산된지 2년여 만에 다시 유료방송 시장이 들끓고 있다. 당시와 비교하면 법제도나 시장상황이 크게 변한 것은 없다. 하지만 최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이 유료방송 M&A에 대해 다른 판단을 할 것이라는 언론 인터뷰에 넷플릭스, 유튜브 등 글로벌 OTT 업체들의 득세에 국내 미디어 기업도 대형화를 해야 한다는 논리가 먹혀 들어가면서 2년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
유료방송에서 독보적 1위를 지켜왔던 KT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합산규제가 어떻게 될지 아직은 알 수 없지만 앞으로 딜라이브 등 케이블TV 방송사 인수추진은 불 보듯 뻔하다. 통신3사에 의한 유료방송 시장의 재편은 정해진 수순이다.
통신사들은 콘텐츠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넷플릭스에 대항하기 위해서, 미디어 사업의 세계화를 위해서 M&A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외치고 있다.
전체적으로 규모의 경제 실현에 대해서는 찬성한다. 하지만 통신사들에 대해서는 믿음이 가지 않는다.
그나마 MSO들은 대부분 PP들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콘텐츠 투자나 지역채널을 통한 방송의 다양성 구현에 이바지해왔다.
반면 IPTV는 그동안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는 방법만을 찾아왔다. 이를테면 유아동 콘텐츠를 보강해 부모의 지갑을 공략하고 모바일과 묶는 방식이다. 콘텐츠 업계에서 우려를 표시해도 가입자 유치를 위해서라면 넷플릭스와 같은 공룡도 안방에 들일 수 있다.
방송을 가입자 기반의 비즈니스처럼 인식하는 통신사들을 중심으로 건강한 방송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
출구전략만 찾기 분주한 케이블TV 업계임을 감안하면 통신사를 중심으로 유료방송 시장이 재편될 수 밖에 없다. 어찌됐든 기대를 걸어야 할 곳은 통신사, 그리고 그동안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못한 정부기관이다.
말뿐이 아닌 구체적 계획, 실행 방안이 담보돼야 한다. 그동안 방송통신 융합이라는 성과에 발목잡혀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못한 정부도 이번에는 제대로 조건을 부과하고 감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