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뷰

[일문일답] LGU+ 하현회 대표, “5G 화웨이 걱정 ‘기우’…유료방송M&A, 내년 상반

- 유선 화웨이 장비 보편화 불구 사고 없어…통신장애 대비 ‘안전품질관리위원회’ 운영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LG유플러스가 5세대(5G) 이동통신 화웨이 장비 도입 우려를 정면 돌파한다. 받을 수 있는 모든 검증을 받겠다고 했다. 또 유선장비는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을 들어 위험을 과장하는 측면이 있다고 반박했다. 유료방송 인수합병(M&A)은 내년 상반기까지 결론을 내겠다고 했다. CJ헬로가 아닌 다른 업체 M&A 가능성도 열어뒀다.

19일 LG유플러스는 서울 용산구 용산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5G 계획과 마케팅 전략을 소개했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대표<사진> 등 주요 임원이 현안을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롱텀에볼루션(LTE)에 이어 5G도 화웨이를 장비 공급사로 선정했다. 화웨이는 중국업체다. 미국 정부 등이 보안 위험을 경고했다. 미국에 동조하는 국가가 늘어나는 추세다.

하 대표는 “화웨이에 대한 보안 우려는 화웨이와 당연히 해결해야하는 문제다. 국정감사 때 얘기한 소스코드 등을 스페인 검증기관에 넘겨 보안인증 절차를 밟고 있다. 내년 결과가 나오면 국내 전문가 등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겠다. 화웨이는 전 세계 170개국 이상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어느 나라에서도 문제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 최주식 부사장은 “통신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성한다. 유선에서 화웨이 장비를 쓰지 않는 통신사는 몃 곳 없다. 유선과 무선 보안은 같은 문제다. 화웨이 무선 장비에 대한 걱정은 팩트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유료방송은 통신사의 새 수익원이다. LG유플러스는 인터넷TV(IPTV) 가입자 점유율 3위다. 규모의 경제를 만들기 위해 케이블TV M&A를 추진하고 있다. CJ헬로가 대상이라는 말이 파다하다. CJ헬로는 부인한 상태다. LG유플러스뿐 아니라 SK텔레콤 KT도 케이블TV M&A를 타진 중이다.

하 대표는 “특정 회사로 제한하지 않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안에 가부를 발표할 것”이라며 “빠른 시간 내에 결론을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1월 KT아현지사 통신구 화재는 네트워크 관리 중요성을 환기했다. 통신서비스뿐 아니라 통신을 이용한 경제활동 전체가 마비됐다. 5G는 다른 산업과 융합을 본격화한다. 같은 일이 벌어졌을 때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

하 대표는 “통신업에 종사하는 책임자로써 무겁게 받아들였다. 전국 모든 국사 점검을 했다. 전사차원에서 안전품질관리위원회를 만들어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체제를 갖추려고 한다”고 반면교사로 삼겠다고 했다.

LG유플러스 네트워크개발그룹장 박송철 상무는 “D등굽은 238개 정도 있다. KT 대비 C등급은 적고 덜 집중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검검해 지적사항 등을 파악 조치할 예정이다. 장비뿐 아니라 운영시스템도 품질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빠른 대응을 할 수 있게 준비하고 있다”고 보탰다.

다음은 기자간담회 일문일답이다.

▲유료방송사 M&A 계획은 어떻게 되고 있나

- 하현회 대표: 국감 때도 질문이 있었다. 공시도 했다. 특정업체 제한하지 않고 원점에서 검토하고 있다. 가능한 빠른 시일에 가부를 결정하려고 한다. 내년 상반기 시점에서 가부 결정 날 수 있도록 하겠다.

▲5G 화웨이 보안 문제에 대해 소스코드 공개 검증하겠다고 했다. 진행이 어떻게 되고 있는가

- 하 대표: 화웨이와 당연히 해결해야하는 문제다. 5G 전국망을 구축하기 위해서 국내는 삼성 해외는 화웨이 노키아 에릭슨 4개 업체를 장비 공급사로 선정했다. 보안 문제는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절차를 밟고 있다. 소스코드 국제기관에서 검증한다고 했다. 명백하게 화웨이와 협의했다. 스페인 기관에 보안인증 신청을 했다. 이미 각종 자료 넘겼다. 내년 만료 시점에는 화웨이, 검증기관, LG유플러스, 국내전문가 직접 가서 보안 문제 검증 볼 기회가 있다. 비단 화웨이뿐 아니라 4개 업체 모두 검증해야할 부분이다. 많은 걱정 있지만 화웨이는 전 세계 170개국 이상에서 장비를 공급한다. 어떤 나라에서도 문제된 적 없다.

▲논란에도 불구 화웨이를 선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 하 대표: 장비업체 선정은 중요한 의사결정 사안이다. 기술, 비용, 납기 등 종합 검증했다. 5G 장비는 NSANSA(Non-standalone) 방식으로 LTE 장비와 연동해서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4G 때도 화웨이를 썼다) 인위적으로 하기는 어렵다.

- 최주식 기업부문장: 통신은 유선과 무선이 있다. 유선으로 화웨이 장비를 안 쓰는 회사 몇 개 없다. 유선과 무선 보안 다 같은 문제다. 다른 장비회사는 타 국가에 인증 받은 적 없다. 그럼에도 불구 우리는 확실하게 가겠다. 댓글 등은 팩트가 아니다.

▲5G 요금제는 구상하고 있는 것이 있는가

- 하 대표: 지금 얘기하기 어렵다. 통신사만 결정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단말기 가격 등 고려해야할 것이 많다.

▲경쟁사 대비 5G 기지국 구축 속도가 빠르다. 빨리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하 대표: 4조원 이상 투자해야한다. 어려운 결정이다. 그런데 산업계 표준이라면 빨리 가는 것이 바른 판단이라고 본다. 상용화 시점까지 완벽하게 하겠다.

- 최 부문장: 내년 3월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것이 목표다. 스마트폰 서비스를 하려면 새로운 플랫폼과 단말기 연동 시험을 해야 한다. 빨리 네트워크를 깔아야 연동 시험 등을 하고 안정화할 수 있다. 타사도 빨리 하고 싶어한다. 빨리 하고 싶지만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넷플릭스와 제휴를 했다. 반응은

- 하 대표: 넷플릭스 초기 반응 생각보다 좋다. 넷플릭스가 참여함으로써 콘텐츠 업체 해외 진출 등 활성화에 바람직한 방향.

▲유료방송 합산규제가 일몰됐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하 대표: 합산규제는 연연해하지 않겠다. 고객이 최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가 경쟁력을 키우는데 집중하겠다.

▲2011년 LTE 상용화 때 속도와 커버리지를 강조했다. 5G는 이와 비교하면 어떤가. 전국망 시점은 언제인가. 투자재원은 어떻게 마련하는가

- 하 대표: 5G용 주파수는 880MHz폭을 갖고 있다. 경쟁사에 비해 20MHz폭이 적지만 고객 서비스는 전혀 관계없다. 고객 수를 감안하면 오히려 우리가 좋다. 전국망은 종합적으로 분석해 추후에 밝히겠다. 투자비는 4조원 가량이 들어갈 전망이다. 잠시 부담이 있더라도 투자를 해야할 때는 하겠다.

▲5G 슬로건이 ‘일상을 바꿉니다’이다. 좀 약한 것 같은데

- 하 대표: 일상을 바꾼다는 굉장히 큰 차원이다.

- 황현식 PS(Personal Solution)부문장: 내부적으로도 말이 있었다. 선택할 때 큰 용기가 필요했다. 의외로 중독성 있다. 지향점이 잘 녹아들어갔다.

▲내년 상반기 유료방송 M&A 가부 결정은 CJ헬로에 한정된 것인가

- 하 대표: 앞서도 말했지만 특정회사를 제한하지 않고 협상이 진행 중이다. 상반기 시점 발표할 수 있겠다.

▲KT 통신구 화재가 경각심을 환기했다. LG유플러스의 D등급 국사는 몇 개이고 장애 대책은 무엇인가

- 하 대표: KT에서 안타까운 화재가 발생했다. 통신업 책임자로써는 무겁게 받아들였다. 동종 업계로 화재 발생 즉시 지원을 했다. 전국에 모든 국사 점검체제 들어갔다. 전사차원에서 안전품질관리 위원회를 만들어서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체제를 갖추려고 한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도록 하겠다. 등급도 다시 한 번 보려고 한다. 느슨한 부분 오히려 올려서 타이트하게 가져가려고 한다.

- 박송철 네트워크개발그룹장: D등급 238개 정도 있다. C등급은 17국사다. KT 대비 C등급은 적다. 통신구는 없다. 대부분 관로다. 덜 집중화 돼 있어서. 조금 더 안정화 되지 않았냐 생각한다. 국사는 과기정통부와 점검 했다. 지적사항은 기준 등 파악 조치할 계획이다. 장비뿐 아니라 운영시스템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품질문제 발생하더라도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

▲5G 기업(B2B) 사업 방향과 수익화 시점은 언제인가

= 최 부문장: LTE는 육상선수라면 5G는 철인 3종 경기 선수다. 5G는 속도 뿐 아니라 지연시간과 용량 등이 강점이다. 그렇다보니 B2B에 기회가 많을 것 같다. 다만 통신모듈이 나와야 한다. 시간이 좀 걸리는 상황이다. 지금은 B2B에서 있을 수 있는 가능한 사업기회를 찾고 있다. 우리만이 아니라 LG그룹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회사 많다. 정하고 있는 중이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