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신현석기자] 상위 500대 슈퍼컴퓨터 중 엔비디아의 GPU 가속기를 사용하는 시스템 수가 1년 만에 48% 증가했다.
13일 엔비디아 측은 고성능컴퓨팅(HPC) 콘퍼런스인 슈퍼컴퓨팅 2018(SC18)에서 발표된 관련 내용을 소개했다. SC18은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11일(현지 시각)부터 16일까지 열린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상위 500대 슈퍼컴퓨터 중 엔비디아 GPU 가속기를 사용하는 시스템 수는 1년 전 86개에서 올해 127개로 상승했다. 5년 전 대비로는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엔비디아 GPU는 미 에너지국이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와 로렌스 라이브모어 국립연구소에 각각 배치한 세계에서 가장 빠른 두 대의 슈퍼컴퓨터 ‘서밋(Summit)’과 ‘시에라(Sierra)’에도 탑재됐다.
엔비디아 측은 “4만 개 이상의 엔비디아 V100 텐서(Tensor) 코어 GPU를 장착한 이 두 시스템을 활용해 세계 최고의 연구진들은 올해 고든 벨 상(Gordon Bell Prize) 6개 부문 중 5개 부문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인정받게 됐으며, 이번 주 SC18 콘퍼런스에서 관련 시상식이 진행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유럽과 일본이 보유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도 엔비디아 GPU로 가속화하고 있다. 슈퍼컴퓨팅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성을 나타내는 ‘그린500(GREEN500)’ 리스트에서도 가장 친환경적인 상위 25대 슈퍼컴퓨터 중 22대가 엔비디아 기술로 구동된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린500 리스트에서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사상 최초로 컴퓨팅 성능의 거의 절반인 1417페타플롭(Petaflop) 중 702페타플롭이 가속 컴퓨팅에서 나왔다는 것”이라며 “10년 전만 해도 이 리스트에 가속 시스템은 없었다”라고 강조했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는 “올해는 엔비디아가 슈퍼컴퓨팅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달성한 해”라며, “무어의 법칙이 종식되면서 인공지능(AI)과 머신 러닝(ML) 워크로드를 중심으로 새로운 HPC 시장이 등장했다. 이 시장은 과학 및 사회 분야의 난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고성능 및 고효율 GPU 플랫폼에 그 어느 때 보다 의존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1년 전 상위 500대 리스트에 새롭게 이름을 올린 슈퍼컴퓨터 중 단 33대만이 GPU 가속 시스템을 사용했지만, 올해는 새로운 153대 중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52대가 GPU로 가속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엔비디아 측은 “올해 리스트에 등재된 새로운 시스템 중에는 62위를 차지한 엔비디아 DGX-2 POD가 있다. 이 시스템은 본 리스트에 최초로 이름을 올린 DGX-2 클러스터로, 36개의 DGX-2 시스템을 통합하며, 3페타플롭 이상의 배정밀도(double-precision) 성능을 제공한다”라며 “DGX-2 POD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 상위 500대’ 리스트에 포함된 단 11개의 클러스터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신현석 기자>shs11@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