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SI

삼정KPMG "1342조원 시장 '스마트 시티'로 국내 건설산업 성장 견인해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삼정KPMG(대표이사 김교태)가 24일 발간한 ‘건설산업의 밸류체인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투자 감소와 부동산 정책 강화, SOC 예산안 축소 등으로 인해 국내 건설산업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스마트 시티’로 건설사들의 사업전략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제시됐다.

스마트 시티란 도시에 ICT와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 모델이다.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혁신기술을 도시 인프라와 결합해 구현하고, 융·복합할 수 있는 공간의 의미로 ‘도시 플랫폼’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 시티 시장은 2014년 6590억 달러에서 2019년 1조 2550억 달러(한화 약 134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정KPMG는 위축되고 있는 국내 건설산업과 성장동력을 잃어가는 국내 건설사에 스마트 시티가 새로운 성장 돌파구가 될 것으로 보고, 건설산업의 밸류체인을 4단계(기획∙설계, 구매조달, 시공∙감리, 유지보수)로 구분해 각 밸류체인별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 도입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건설사들이 시공∙감리단계에서 드론이나 모바일, 3D프린팅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건설 프로세스 자동화를 실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드론은 실시간으로 공사현장을 점검해 시공 효율성을 높여주고, 모바일을 통해 시공현장에서 발생하는 설계 변경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비용 절감과 생산성 및 품질도 제고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지보수단계에서는 순찰 드론을 통한 안전예방, 스마트 지진계, IoT플랫폼을 활용한 화재예방 등 치안과 자연재해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안전, 삶의 질, 쾌적성 등이 중요한 주택 구매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어 수요자들의 관심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빅데이터, 감지센서 등의 다양한 4차 산업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입주자 친화적인 서비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임근구 삼정KPMG 건설산업서비스 리더는 “글로벌 선진 건설사들은 각 밸류체인 별로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들을 적극 도입해 스마트 시티 건설수요에 대응하고 있다”며, “국내 건설사들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기반의 기술 도입을 고려하고 각 밸류체인 별 사업 모델을 다각화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