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국방부 백신도입 사업을 보고 있으면 한 편의 코미디가 따로 없다는 탄식이 나온다.
국방부는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6년에 발생한 국방망 해킹 사건이후, 백신 도입 사업을 추진, 지난해부터 입찰 공고를 내놓고 있다. 전군을 대상으로 한 바이러스 방역체계(내부망) 구축 사업이다.
그러나 매번 유찰되면서 사업은 착수되지 못하고 있다. 앞서 지난 4일에도 단독응찰로 인해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해 오는 19일을 마감기한으로 정한 재공고를 게시했다.
이유는 분명하다. 어떤 보안기업도 반가워하지 않은 일감이기 때문이다. 돈은 적고 책임질 일은 많다.
나라의 사이버안전을 지키는 데 기여한다는 사명감만을 민간기업에 고집할 수는 없다. 심지어 해킹 책임까지 보안기업에 떠넘기고 소송까지 진행한다. 수익과 주주의 가치를 우선순위에 삼는 기업에게는 피하고 싶은 사업이 분명하다.
국방부는 기존 백신사업자인 하우리를 상대로 해킹사고 책임공방을 벌이더니 최근에는 법적다툼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정작 내부에서는 지난해 1월 계약을 종료한 하우리의 제품을 수개월씩 연장하며 이용하고 있다. 해킹당한 것은 '너네 탓'이라고 말하면서 계속 해당 회사 제품을 사용하는 모순을 이어가고 있는 셈이다.
이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기업들은 없고 파리만 날리는 무대에, 명예라도 회복하자는 기존 사업자만 남았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 기간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국방망 해킹 사고와 관련해 국방개혁과 연계, 철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당시 국방부는 심각한 국방망 해킹사고를 인정하며 제반조치가 국민적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했다며, 국가 사이버안보 대응능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국방부 백신사업에 대한 예산 확대 등을 기대했지만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국방망은 사이버보안의 최전방이다. 국방망이 뚫리면 군사기밀부터 국가의 주요사항들이 외부로 유출되고, 최악의 경우 전시상황 발생 때 악용된 정보로 인해 불리한 위치에 설 수 밖에 없다.
작금의 사이버공격 상황은 하루가 다르게 고도화되고 발전되고 있다. 이제는 현실적인 눈높이에서 나라의 사이버안보를 지킬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고안해야 할 때다.
사실 고민할 것도 없다. 제값주고 사면된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태규 직무대행 "TV수신료 통합징수시 혼란 발생할 것"
2025-01-20 16:24:3923일 이진숙 위원장 운명의 날…헌재, 탄핵심판 선고일 확정
2025-01-20 15:35:00가온전선, 연 매출 사상 최고치 경신…"북미 수출·지앤피 실적↑"
2025-01-20 14:50:59LTE 주파수 이용기간 종료 '임박'…"1인당 트래픽, 큰폭으로 꺾여"
2025-01-20 13:00:47OTT와 공생택한 지상파, 넷플릭스 뿐만 아니다 [IT클로즈업]
2025-01-20 10:56:35넥슨 ‘드리프트’, 오버 드라이브 전환… 반등 질주 시작하나
2025-01-20 14:51:30행안부, 카톡 알림톡 도입했더니…행정 예산 연 40억원 절감
2025-01-20 14:51:12“더 짧고 재밌게”…네이버, 새해도 숏폼·AI 갈고닦기
2025-01-20 14: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