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IT혁신/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시블 OLED
전 세계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절대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삼성전자 갤럭시S와 갤럭시노트 시리즈를 비롯해 구글, 레노버, 화웨이, 오포, 비보 등 주요 스마트폰 업체가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를 사용했다. 특히 휘어져 있는 플렉시블 OLED는 공급이 수요를 맞추기 어려울 정도로 인기가 높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양산 10년차의 기술력과 경험을 통해 98%에 이르는 중소형 OLED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기존 듀얼 엣지, 쿼드 엣지 형태는 물론 폴더블, 롤러블 등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향후 헬스케어, 패션 등 다양한 시장 창출을 노린다는 복안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영상 SKT 대표, “위약금 면제 시 약 2500억원 손실 추정… 종합검토”
2025-05-08 16:11:42[컨콜] SKT 해킹 여파 속 LGU+ "모든 서버 전수검사…특이사항 없어"
2025-05-08 16:06:43SKT 보안체계, 'LTE→5G' 넘어왔나…IMSI 암호화의 진실 [IT클로즈업]
2025-05-08 15:16:56국회 과방위 “최태원, 불출석 사유서 제출 시간 도과…고발 검토”
2025-05-08 15:04:28올 1분기 외형 성장한 CJ온스타일…“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성장 덕분”
2025-05-08 14:41:11LGU+ 홍범식, 취임 후 첫 성적표 '맑음'…AI서 성장동력 확보 과제(종합)
2025-05-08 13:21:38넷마블, 올 1분기 영업익 497억원…전년비 1243.2%↑
2025-05-08 16:11:53콘텐츠 매출 16%↓…카카오, 실적 부진 속 ‘선택과 집중’ 본격화 (종합)
2025-05-08 16:03:46[컨콜 종합] 카톡 슈퍼앱·AI 시동…카카오, '성장 전략 청사진'은
2025-05-08 15:20:38디지털경제연합 “새 정부, 규제보다 AI·플랫폼 진흥에 집중해야"
2025-05-08 14:13:32카카오, 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 CBT 시작…개인화·그룹 기능 강화
2025-05-08 11:27:40프리즘, '제61회 백상예술대상' 글로벌 중계…"시청자만 380만"
2025-05-08 10:5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