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국내 연구진이 미국 현지에서 고주파 대역인 VHF 채널에서 차세대 지상파 방송 표준인 ATSC 3.0 송수신 기술 검증을 처음으로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클레버로직과 ATSC 3.0 송수신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전미 방송사 연합(NAB)과 함께 미국 오하오주 클리블랜드시에서 VHF 채널을 통해 필드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필드 테스트는 NAB의 요청에 의해 진행된 것으로, 미국 본토 환경에서 ETRI가 개발한 장비로 지난 1월부터 약 한 달간 진행됐다.
ETRI는 디지털TV의 신호측정을 위해 연구진이 만든 ATSC 3.0 송수신기와 고출력 장비 등을 사용, 테스트에 참여했다. 테스트는 ▲하나의 방송채널에서 4K UHD와 이동 HD 방송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LDM모드 ▲기존 ATSC 1.0과 동일한 방송구역을 가지는 고정수신 모드 ▲ATSC 1.0과 동일한 전송용량을 가지는 고정수신 모드 ▲매우 열악한 채널환경에서도 동작하는 실내수신 모드 등을 수행했다.
린 클라우디 NAB 부회장은 “이번 필드 테스트는 VHF 채널을 활용한 세계 최초의 ATSC 3.0 기술검증으로 향후 북미 주파수 경매 및 방송정책 결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남호 ETRI 방송시스템연구부 부장도 “연구원이 보유한 다양한 핵심 기술을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북미 방송 시장에서의 기술 영향력을 높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ETRI는 지난해 4월 미국에서 개최된 방송장비 전시회인 ‘NAB Show 2015'에 LDM 기술을 출품하고 'NAB 기술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9월에는 국제표준기구인 ATSC에서 제정중인 ATSC 3.0 표준의 하드웨어 검증 단계인 표준후보(Candidate Standard)에 채택되기도 했다.
ETRI가 개발한 LDM 기술을 포함한 ATSC 3.0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될 경우 기술료 창출과 초기 ATSC 3.0 방송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SKT,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실증…’네트워크AI’ 실현 속도
2025-04-17 09:41:43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경영권 매각 아닌 FI 교체"…카카오모빌리티, 매각설 전면 부인
2025-04-17 16:0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