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별 매출 및 비중은 ▲광고 5870억원(70%) ▲콘텐츠 2441억원(29%) ▲ 기타 86억원(1%) 이다. 전체 매출 중 모바일 비중은 55%, PC 45%를 차지했다. 광고는 모바일 부문의 지속 성장으로 전년동기 대비 17.9%, 전분기 대비 5.1% 성장한 5870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 매출 비중은 40% 수준으로 크게 확대되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국내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7%, 전분기 대비 1.3% 증가했으며 특히 해외 광고는 라인 공식계정, 스폰서 스티커 증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58.7%, 전분기 대비 32.3% 성장했다. 전체 광고 매출 중 15%의 비중을 차지했다.
콘텐츠 매출은 국내, 해외 매출의 고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27.7%, 전분기 대비 14.5% 증가한 2441억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6%, 전분기 대비 19.4% 증가한 1995억원을 기록했다. 라인 주식보상비용 287억원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2282억원, 영업이익률은 27.2%이다.
한편 라인주식회사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4%, 전분기 대비 16.1% 증가한 322억엔(한화 약 3047억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네이버 김상헌 대표는 “해외 매출과 모바일 매출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바탕으로 3분기에 좋은 실적을 거둘 수 있었다”며 “검색, 쇼핑, 네이버페이 등 사용자 경험 개선을 통해 편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웹툰, V(브이) 등 글로벌 서비스가 해외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기업은행에 AI 피싱탐지 기술 적용…“사전테스트서 6억원 손실 예방”
2025-04-08 09:46:18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저작권 단체, 문체부 시정 명령 무시...음저협 회장은 보수 79% 인상
2025-04-08 11:00:22위믹스 상폐 우려... 한국 블록체인 게임 시장 뒷걸음질할라
2025-04-08 10:59:21‘국민게임의 귀환’ 블로믹스,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2025-04-08 10:05:21김병기 의원, 게임이용자 보호를 위한 게임산업법 대표발의
2025-04-08 09:42:18[단독] 남성판 '호텔 델루나'…신작 '그랜드 갤럭시' 넷플릭스行
2025-04-07 17:3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