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그동안 시그니처 기반 보안은 알려진 공격 대부분을 확실하게 대응했지만, 이를 회피하기 위한 해킹 기술 역시 함께 발전해 온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기존 방식으로는 지능형 멀웨어(악성코드)를 막기 힘듭니다.”
실제 블랙햇 조사에 따르면, 멀웨어는 최근 들어 더욱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76%의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들은 지능형 멀웨어가 오늘날 보안의 가장 주요한 관심사라고 응답한 바 있다. 맥아피 연구소(랩)에서 확보한 멀웨어 샘플 역시 지난해 3분기 기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6% 증가했으며, 이 숫자는 3억개를 돌파했다.
이처럼 멀웨어의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점차 발전하는 한편, 기존 시그니처 기반 칩임방지시스템(IPS)의 경우 심각한 공격을 탐지하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악성코드(자바스크립트)가 내장된 PDF 파일 때문에 지불 카드 정보 4000만개, 7000만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미국 대형마트인 블랙포스 사건이 대표적이다.
PDF와 같이 범용화된 툴은 콘텐츠 배포를 위해선 필수불가결한 도구이며, PDF 뷰어의 경우는 라이언스 필요 없이 쉽게 다운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하루에도 수천건에 달하는 파일이 이동하고 있다.
조 차장은 “기업들이 이러한 지능형 멀웨어를 막기 위해서는 코드 및 트래픽 행위 분석과 글로벌 평판 정보 등을 통해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선 액티브 스크립트 형태 분석을 위하 동적, 정적인 코드 분석이 중요하다”며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교훈처럼 실시간 에뮬레이션 엔진과 실시간 심층파일검사 등의 분석을 통해 내부를 먼저 다스린 후 외부를 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약 80%의 멀웨어 탐지 및 차단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탐지된 경고 등 고위험군을 추적하는 방식보다는 이벤트를 이해(분석)하는 방식으로 멀웨어 대응 정책이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인텔시큐리티(맥아피)의 네트워크 보안 플랫폼(NSP)는 시그니처 기반의 탐지한계를 극복하는 다중분석엔진과 온박스 SSL 성능, 보안정책개선을 위한 상황 정보 제공 등을 통해 보다 지능적인 접근방식을 제안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현모 “응용AI 만이 살 길”…우수사례로 ‘LG AI 연구원’ 언급
2025-05-14 15:39:20갤S25 엣지 공시지원금, 최대 25만원…KT가 제일 많아
2025-05-14 15:33:20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 지역·중소방송 정책과제 논의한다
2025-05-14 15:12:20SKT, 취약계층 방문 서비스 다음주부터 시작…"유통망 소통체계 강화"
2025-05-14 11:11:42KT, AI로 보안서비스 강화 “디도스 막고, 피싱메일 탐지”
2025-05-14 10:11:08SKT 해킹 피해…SK그룹,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 신설
2025-05-14 09:16:37민주당 게임특위, 게임사 노조와 간담회 개최…“노동환경 개선 과제 논의”
2025-05-14 15:31:53위메이드 박관호 "차기 정부선 블록체인 육성정책 기대" (컨콜 종합)
2025-05-14 15:12:52월 방문 1000만 사이트도 항복…카카오엔터, 자체 기술로 불법웹툰 막는다
2025-05-14 13:49:12VFS–소니 픽소몬도, 가상 프로덕션 전문가 양성 맞손
2025-05-14 11:04:27“아이온2, 리니지 라이크와는 달라”…엔씨가 내년 매출 목표 내세운 이유(종합)
2025-05-14 10:5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