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그동안 시그니처 기반 보안은 알려진 공격 대부분을 확실하게 대응했지만, 이를 회피하기 위한 해킹 기술 역시 함께 발전해 온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기존 방식으로는 지능형 멀웨어(악성코드)를 막기 힘듭니다.”
실제 블랙햇 조사에 따르면, 멀웨어는 최근 들어 더욱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76%의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들은 지능형 멀웨어가 오늘날 보안의 가장 주요한 관심사라고 응답한 바 있다. 맥아피 연구소(랩)에서 확보한 멀웨어 샘플 역시 지난해 3분기 기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6% 증가했으며, 이 숫자는 3억개를 돌파했다.
이처럼 멀웨어의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점차 발전하는 한편, 기존 시그니처 기반 칩임방지시스템(IPS)의 경우 심각한 공격을 탐지하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악성코드(자바스크립트)가 내장된 PDF 파일 때문에 지불 카드 정보 4000만개, 7000만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미국 대형마트인 블랙포스 사건이 대표적이다.
PDF와 같이 범용화된 툴은 콘텐츠 배포를 위해선 필수불가결한 도구이며, PDF 뷰어의 경우는 라이언스 필요 없이 쉽게 다운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하루에도 수천건에 달하는 파일이 이동하고 있다.
조 차장은 “기업들이 이러한 지능형 멀웨어를 막기 위해서는 코드 및 트래픽 행위 분석과 글로벌 평판 정보 등을 통해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선 액티브 스크립트 형태 분석을 위하 동적, 정적인 코드 분석이 중요하다”며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교훈처럼 실시간 에뮬레이션 엔진과 실시간 심층파일검사 등의 분석을 통해 내부를 먼저 다스린 후 외부를 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약 80%의 멀웨어 탐지 및 차단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탐지된 경고 등 고위험군을 추적하는 방식보다는 이벤트를 이해(분석)하는 방식으로 멀웨어 대응 정책이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인텔시큐리티(맥아피)의 네트워크 보안 플랫폼(NSP)는 시그니처 기반의 탐지한계를 극복하는 다중분석엔진과 온박스 SSL 성능, 보안정책개선을 위한 상황 정보 제공 등을 통해 보다 지능적인 접근방식을 제안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IT클로즈업] ‘망 사용료 논쟁’ MWC서 재점화될까…“주요국 입장 예의주시해야”
2025-02-21 11:30:17[DD퇴근길] 제로트러스트 실제 적용사례·정부정책 한눈에
2025-02-20 17:15:10"KT·네카오·메가존 합류"…ICT기업 품은 한경협, DX 혁신 꿈꾼다
2025-02-20 15:34:56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29CM, 상반기 ‘이구홈위크’ 전년비 거래액 2배 돌파…“주방용품·홈 패브릭 상품 추천 적중”
2025-02-21 16:24:36위메이드 ‘레전드오브이미르’, 구글 플레이 인기 1위 달성
2025-02-21 16:16:01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탑’, 일본 현지 CBT 시작
2025-02-21 14:55:42"D.P. 신드롬 한 번 더"…한준희 신작 '로드', 넷플릭스로?
2025-02-21 13: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