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연 교수·남궁훈 이사장, ‘연구 소홀’·‘소통 부족’ 등 업계 비판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최근 게임산업을 겨냥한 규제안 발의에 비판적 시각을 가진 인사들이 모인 국회 토론회에서 업계를 겨냥한 ‘규제 책임론’이 부각됐다. 게임업계가 규제에 대한 빌미를 제공했다는 따끔한 질책의 목소리가 나온 것이다.
그런데 발언의 당사자가 게임업계 규제 개선에 가장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냈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교수는 현재 게임규제개혁공대위에서 활동 중으로 문화연대 공동집행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그는 업계를 대변해 보건복지위 공청회에서 중독법 반대 의견을 전달하는 등 규제 철폐와 개선에 앞장서온 바 있다.
이날 이 교수는 업계가 게임문화 연구에 소홀히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현재 게임산업이 규모는 크지만 게임문화 연구 수준은 중세시대에 머무른 수준”이라며 “게임과 문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속적으로 말해왔는데 이득만 추구하는 현재 상황을 보니 어쩌면 게임 중독법 발의가 당연히 벌어질만한 일이 아니었나 싶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서 “지금이라도 매출을 줄이고 기업들이 문화 연구에 힘쓰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제2, 제3의 중독법이 나타나 업계의 목을 죌 것이 분명하다”며 “앞으로 게임과 문화에 대한 연구도 기업 차원에서 활발히 전개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재차 업계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이와 함께 게임산업 규제에 적극 반대 입장을 표명해온 남궁훈 게임인재단 이사장도 “업계가 매출 중심으로 달려왔기 때문에 (규제가) 나타난 결과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을 보탰다.
남궁 이사장은 “업계가 스스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우리 책임을 다할 때 당당하게 문제점이 무엇인지 얘기할 수 있는 상황도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타임라인] SKT 해킹사고, 어떻게 인지했나…발견까지 72시간
2025-04-29 16:43:29유심 해킹 SKT 유영상 대표, 30일 국회 과방위 청문회 출석
2025-04-29 15:54:45SKT “수습 역량 총동원…5월 내 유심 SW 변경 시스템 개발”
2025-04-29 15:01:02“정부부처 보안에도 빨간불”...국정원, 전부처에 유심교체 공문
2025-04-29 14:43:51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1차 조사결과 발표…"IMEI 유출은 없어"
2025-04-29 14:12:50SKT, 황금연휴 앞두고 비상…유심보호서비스 2.0 나온다
2025-04-29 10:45:09하이브, 역대급 기록썼다…1분기 매출 첫 5000억원 돌파
2025-04-29 16:30:08"어닝 서프라이즈" 크래프톤, 1분기 영업익 4573억원 '역대 최대'
2025-04-29 16:25:07[현장] 이세돌 "바둑보다 데블스플랜이 어려워"…치열한 두뇌싸움 승자는?
2025-04-29 15:16:02SK스퀘어, 美∙日 차세대 기술기업에 1000억원 투자
2025-04-29 14:47:19문화사업 30주년 CJ ENM…"온리원 정신 되새겨 글로벌 원년 도약"
2025-04-29 10: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