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금융IT

[기획/2012 금융IT혁신⑦] 포스트 차세대, 어떻게 할 것인가?

<디지털데일리>는 주요 금융 IT 현안을 중심으로, 올해 전개됐던 상황을 되짚어보고 아울러 2012년의 주요 IT혁신과제를 전망해 볼 계획이다.

 

다뤄볼 주제들은 ◆강화된 전자금융 감독규정과 IT조직의 변화 ◆금융권의 빅 데이터 화두 ◆ ‘스마트 브랜치’(Smart Branch) 전략의 구현 ◆ 금융 IT인프라의 보안강화 전략 ◆투자은행(IB) 구현과 IT고도화 전략 ◆ ‘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모바일 서비스 개발 혁신 (MEAP 도입과 적용, 활성화 등) ◆ 포스트(Post) 차세대 시스템 전략 ◆ 금융권 가상화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 전략 등이다.

 

이와관련 <디지털데일리>는 오는 12월 22일(목) 서울 프라자호텔 별관(그랜드볼룸)에서 ‘2012, 금융IT 혁신’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2012년 금융IT 부문 감독방향(금융감독원)을 비롯해 금융IT 혁신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를 제시할 방침이다. <편집자>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지난 10여년간 금융IT 시장에서 매년 주목받아왔던 것이 차세대시스템 구축이다. 

 

시중은행의 경우 한번에 수천억원이 투입되고 규모가 작은 캐피탈사도 수백억원의 자금이 투입되는 초대형 사업이기 때문에 관련 IT업체들도 금융권의 차세대시스템 구축 동향에 항상 촉각을 곤두세웠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 촉발된 시중은행들의 차세대시스템 사업은 대부분 마무리 됐으며 일부 지방은행들의 차세대시스템 구축 작업이 끝나면 은행들의 차세대시스템 구축 움직임은 일단락 될 것으로 보인다.

 

차세대시스템은 은행의 장기 IT전략을 가늠하는 주요 인프라라는 점에서 대략 5년에서 7년정도의 주기를 가지고 교체되는 추세다. 하지만 최근들어 금융환경이 급변하면서 기존 시스템으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왔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새로운 환경에 맞는 시스템 구축 필요 = 스마트폰 보급으로 촉발된 스마트폰 뱅킹과 소셜네트워크의 확산에 따른 새로운 금융외부 환경 출현, 그리고 법제도 개선으로 인한 경쟁환경 변화가 바로 그것이다.

 

이에 따라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최근에 완료한 은행들도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고민에 빠지게 됐다. 기존에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 필요해졌고 이에 대한 시스템적 대응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기존 차세대시스템을 잇는 ‘포스트(Post) 차세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포스트 차세대는 ▲모바일 및 스마트금융 ▲멀티채널 혁신 ▲융복합 컨버전스 서비스 ▲신기술 적용과 비용절감 ▲금융지주사 시너지 창출에 대응하는 시스템 개발로 요약된다.

 

특히 포스트 차세대는 그동안 금융 시스템에 적용된 적이 없는 전혀 새로운 요구사항이 가장 중요하게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채널을 통합적으로 수용해 고객에게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인프라 구축이 추진되며 소셜 컴퓨팅의 금융 시스템 적용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의 소셜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 활동이 대외적인 영업 및 마케팅 인프라를 구성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이러한 소셜네트워크와 금융의 만남은 고객이 금융권 전략과 영업에 있어 주도적인 위치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상품개발이 더 이상 금융권 독자적인 기능이 아니라 고객에게 넘어가는 것을 전제해야 한다는 것.

 

데이터분석의 고도화도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신뢰할 수 있는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예측 및 의사결정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투자가 이어다는 것. 특히 이는 금융지주사들의 고객정보 분석 등과 맞물려 진행될 전망이다. 

 

포스트 차세대가 갖춰야할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큰 그림에는 대체적으로 업계가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포스트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둘러싼 방법론에 대해서는 업계는 물론 금융권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구축방법에는 논란 여전해 = 그동안 금융권 차세대시스템은 대부분 한 번에 새로운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빅뱅(Big Bang) 방식이 선호돼왔다. 하지만 몇 년간 빅뱅 방식의 차세대시스템 구축에 피로감을 느낀 금융권에선 빅뱅 방식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특히 포스트 차세대에서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서비스들은 기존 시스템에서 추가 고도화작업을 통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최근 개최한 ‘금융권 차세대시스템 구축 이후 금융IT 발전전략’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진행한 뱅크웨어글로벌의 이경조 대표는 “세계적 수준의 코어뱅킹 시스템을 포스트차세대에서 전면 재개발하느냐는 점은 중요한 테마”라며 “현업에서는 전면 재개발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뱅크웨어글로벌이 최근 7개 금융기관과 3개 컨설팅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포스트 차세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은행권에서 프로그램 품질 저하에 따른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상당한 수준으로 느끼고 있지만 시스템 전면 재개발보다는 현 시스템을 개선하는 수준으로도 해결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힌 것.

 

이는 현재 금융권에서 진행한 차세대시스템의 연한이 얼마 되지 않았고 대부분 자바 등 최신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에 유연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소셜네트워크 대응이나 스마트 뱅킹 서비스와 같은 경우 기존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이 크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현업의 요구에 따라 그때그때 대응할 수 있는 조직 마련이 오히려 중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조직이 우선 마련되면 IT개발의 일관성을 꾀할 수 있어 차세대 못지 않은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포스트 차세대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비즈니스 과제로 ▲모바일 뱅킹 고도화 ▲보안시스템강화 ▲융복합 상품 서비스 ▲직원 생산성 향상 ▲지주사 통합고객 서비스 ▲데이터분석기술 고도화 ▲사용자인터페이스 개선 ▲통합리스크 관리 고도화 ▲IT거버넌스 고도화 ▲국외전산 고도화 ▲클라우드 도입 등이 꼽히고 있다.

 

개별 과제들이 모두 중요한 시스템이지만 이들 모두가 한 번에 개발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일부 금융권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는 않다.

 

결국 금융권의 핵심 경쟁력을 좌우할 시스템인 만큼 시스템간 연계가 중요한데 개별 개발로는 전체 시스템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또한 빅뱅 방식으로 구축할 경우 개발 책임에 대한 관계가 명확하지만 순차적 도입의 경우 이러한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社告>

2012년 우리 금융산업의 IT화두를 분석하고 전망하기 위한 '2012 전망, 금융IT Innovation 컨퍼런스'가 오는 12월22일(목)에 서울 플라자호텔(시청앞)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됩니다.

올해 행사에서는 ▲2012년 금융IT 감독방향(금감원)을 비롯해 ▲소셜 비즈니스&빅데이터 시대의 금융권 IT대응전략 ▲금융 보안인프라 강화 전략 ▲금융회사의 웹 모바일 플랫품 구현 ▲금융 최적화된 데이터센터의 구현 방안 ▲모바일 기반의 금융업무 프로세스 혁신및 구현 전략 ▲주요 시중은행의 2012년 IT혁신 추진 계획(KB국민은행) 등 모두 18개 세션으로 구성된 핵심적 관심사를 제시할 계획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장소및 일시 : 서울 프라자호텔(시청앞) 그랜드볼룸 / 09:20~17:20
컨퍼런스 안내 바로가기 = http://www.ddaily.co.kr/semina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