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비즈*솔루션

공공AI사업 쏟아지자 대구센터 ‘완판’…PPP 두고 엇갈린 클라우드 기업들

[Ⓒ 챗GPT 생성]
[Ⓒ 챗GPT 생성]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정부가 공공 분야 민간 클라우드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내 마련한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공간이 완판됐다.

주요 공공 사업이 PPP 인프라를 요구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PPP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PPP 입주사인 클라우드 기업과 아닌 기업 간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가 최근 진행한 추가 상면임대 입찰 결과, 센터 내 총 9개 컨테인먼트 공간이 모두 낙찰됐다.

PPP 클라우드는 민간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가 국가 데이터센터인 국정자원 대구센터 상면공간을 임대해 행정망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대구센터는 전산동 지하 1층에 공통장비 운영을 위한 2개 컨테인먼트를 제외하고 총 9개 컨테인먼트 단위 상면공간을 두고 있다. 지난해 3월 8개 컨테인먼트에 대해 처음으로 개시한 상면임대 입찰에서 삼성SDS가 2개, KT클라우드와 NHN클라우드가 각 1개씩 낙찰했고, 나머지는 유찰됐었다.

이후 대구센터는 기존 PPP 사업자들의 요청에 따라 나머지 5개 컨테인먼트에 대해 2차 입찰을 지난달 진행했고, 여기서 삼성SDS가 1개, KT클라우드와 NHN클라우드가 각 2개씩 낙찰받았다. 이에 따라 3사가 각 3개씩 확보, 총 9개 상면공간이 모두 채워지게 된 것이다. 상면임대 기간은 각 5년에 기간 내 1회 연장도 가능하므로 최소 5년 이상은 이들 3사 중심으로 PPP 클라우드 사업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PPP 클라우드 여부가 추후 공공 정보화 사업의 당락을 가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 공공 부문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비롯해 AI 도입에 초점을 둔 다수 공공 사업이 PPP 클라우드 사용을 전제로 발주되고 있어서다.

대표적으로, 향후 공공 AI 수요 선점을 위해 많은 사업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행정안전부의 ‘범정부 초거대 인공지능(AI) 공통기반 구현사업’은 제안요청서(RFP)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 데이터센터 내 PPP 클라우드 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보안 요건이 통과된 민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요구사항으로 내걸고 있어, 사실상 PPP를 기확보한 삼성SDS·KT클라우드·NHN클라우드 3파전이 유력해졌다. 마찬가지로 행정안전부의 ‘2025년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구축사업’ 역시 협업 솔루션 도입과 관련해 ‘PPP 존의 CSP 사업자를 통해 입주될 SaaS를 활용할 것’을 요구했다.

자연히 PPP에 참여하지 않은 CSP들은 불만을 표하고 있다. PPP 클라우드의 폐쇄성과 수익성 문제, 제도 불확실성 등 여러 이유로 PPP에 참여하지 않은 이들 기업은 막상 공공 수요가 PPP로 쏠리는 흐름이 되자 당황하는 분위기다. PPP 사업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경쟁에서 배제되는 것 자체가 불공정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CSP사 관계자는 “PPP 사업 취지는 공공 부문에서 민간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을 활성화하자는 것인데, 실제 PPP 모델은 정부가 제한적으로 운영하는 전산실에 민간 기업이 입주해 들어간다는 점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가깝다”며 “앞으로 공공 사업들이 PPP에 집중된다면 이것이 과연 진정한 의미의 민간 퍼블릭 클라우드 간 경쟁이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그러나 PPP 참여는 선택의 문제라는 입장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관계자는 “상면공간과 기본적인 기반시설을 빌려주는 대구센터를 임대하거나, 임대하지 않는 CSP는 보안 요건에 맞춰 자체 데이터센터에 투자를 하는 선택지가 있다고 보여진다”며 다만 “이용(발주)기관들이 단순히 PPP라고 하기보다는 국정원 지침과 가이드라인에 따른 보안검증을 요건으로 표현하도록 협조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국정원 지침상 하등급을 제외하고 망분리가 필요한 중등급 이상 공공시스템은 원래라면 G-클라우드만 이용할 수 있었겠지만, PPP를 통해 민관이 협력하는 형태로 민간 클라우드 확산을 지원하는 마중물이 되겠다는 것”이라며 “공공 사업을 PPP로만 한정해 경쟁이 격화된다기보다는, PPP라도 생겼기 때문에 민간 사업자가 범정부 초거대AI 사업과 같은 중등급 이상 공공 사업에 참여할 길이 열렸다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