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12.3 비상계엄'이후 원-달러환율이 1400원대 중반으로 치솟은 가운데, 이같은 고환율 현상 지속에 따른 '위험가중 자산'의 증가로 '보통주자본비율(CET1)' 등 국내 은행권의 주요 자본비율 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CET1 비율 13%'를 사수하면서 전개되고 있는 국내 은행 금융지주사들의 밸류업 전략에도 부정적인 여파가 불가피해 보인다.
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2024년말 국내 은행의 CET1 비율은 13.07%로 전분기말(13.34%) 대비 0.26%p 하락했다. 2024년 4분기말 기준 위험가중자산은 전분기말 대비 36.8조원 증가했다.
조사 대상 은행중 SC은행(-2.81%p)·카카오뱅크(-1.27%p)·농협은행(-0.68%p) 등 대부분 은행이 전분기말 대비 CET1비율이 하락했고 토스뱅크(+0.29%p), 케이뱅크(+0.26%p), 우리은행(+0.18%p), 하나은행(+0.05%p) 등 4개 은행은 상승했다.
다만 전체적으로보면 씨티・SC・카카오・토스뱅크 등은 14% 이상, KB・하나・신한・수출입・케이뱅크 등이 13% 이상으로 아직은 양호한 수준이다.
이밖에 같은기간 CET1비율외에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은 각각 14.37%, 15.58%로 전분기말 대비 각각 0.28%p, 0.26%p 하락했다.
금감원은 이같은 자본비율 지표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2024년말 기준, 모든 국내 은행이 자본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아직 양호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2025년 들어서도 고환율이 지속되고 있으며 경기회복 지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는 등 자본여력을 계속 제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금융여건 악화시에도 은행이 신용공급 축소 없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망사용료 또 언급한 美 USTR, 통상마찰 우려 있나 [IT클로즈업]
2025-04-01 17:58:58KT, 삼성전자와 AI 가전구독 서비스 출시…통신업계 최초
2025-04-01 11:07:15SKT 에이닷, 웹 확장프로그램 출시...멀티 LLM 기능에 라이너 추가
2025-04-01 10:03:19“AX로 맞붙자” 통신3사, ‘비통신’ 사업 부진 역사 넘어설까
2025-04-01 09:55:48세종텔레콤, 사업 구조 재편 박차…전기공사 사업 리더십 강화
2025-04-01 09:04:21토종 OTT, 경쟁력 갖추려면…"제작비 줄이고 시즌제로 짧게" (종합)
2025-04-01 20:20:03네이버 AI 브리핑 vs 구글 AI 오버뷰 비교, 결과는?…AI 주권 성공할까
2025-04-01 17:10:16[DD퇴근길] 윤 대통령, 운명의 날…탄핵심판 선고 4일 오전 11시 확정
2025-04-01 17:06:56국제해양영화제, 제10회 OOC 공식 사이드이벤트 주관 기관으로 선정
2025-04-01 16:46:25네이버, 올해 임금 인상률 5.2% 잠정 합의…'스톡 그랜트'는 폐지
2025-04-01 16:4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