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규리기자] CJ푸드빌이 전 사업 부문에서 흑자를 달성하며 4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의 해외 확장과 외식 브랜드 '빕스'의 프리미엄 전략이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CJ푸드빌은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9092억원, 영업이익 55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7.6%, 영업이익은 22.7% 증가했다. 흑자 전환에 성공한 2021년 이후 4년 연속 실적 상승세로, 같은 기간 매출은 5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배 이상 뛰었다.
성장세의 중심에는 뚜레쥬르를 앞세운 글로벌 사업이 있다. CJ푸드빌은 현재 미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9개국에서 약 560개의 뚜레쥬르 매장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 해외법인 매출은 2116억원으로 전년 대비 420억 원(24.7%) 늘었고, 당기순이익 단순 합산 기준으로는 2.3배 증가했다.
특히 미국은 실적 성장을 주도하는 핵심 지역이다. 미국 법인은 2018년 CJ푸드빌 해외 법인 중 처음으로 흑자 전환한 이후 7년 연속 실적 신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1373억원에 달했다. 현재 뚜레쥬르는 LA,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등 27개 주에 진출했으며, 지난해 말 기준 150호점을 돌파했다. CJ푸드빌은 2030년까지 미국 내 매장을 10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뒷받침할 연간 1억개 생산 규모의 미국 조지아주 신공장도 연내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동남아 시장에서도 성과가 두드러진다. 인도네시아 법인의 지난해 매출은 49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5% 증가했다. 2022년 흑자 전환 이후 3년 연속 성장세다. CJ푸드빌은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70여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브카시에 설립한 생산 공장을 통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인근 지역으로의 확장을 모색 중이다. 해당 공장은 국내 베이커리 업계 최초로 할랄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외식사업 부문도 실적 상승에 힘을 보탰다. 지난해 외식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7.8% 증가했다. 수도권 및 주요 도시 거점에 문을 연 신규 매장들은 기존 대비 평균 35% 높은 점당 매출을 기록했으며, '빕스 마곡 원그로브점'은 올해 1~2월 일평균 매출이 기존 평균 대비 60% 이상 높게 나타났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브로드밴드, K리그2 생중계로 지역밀착형 미디어 역할 강화
2025-04-18 09:16:40“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네이버-컬리, 이커머스 분야서 전방위 협업…“시너지 확대 기대”
2025-04-18 11:11:27무신사 뷰티, '주술회전' 소환…주미소 컬래버 마스크 출시
2025-04-18 09:16:57"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