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클라우드 빅테크들의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출이 올해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들이 공공 분야 망분리 보안 규제인 클라우드보안인증제(CSAP)를 통과했다는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이미 세계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클라우드 빅테크들의 상륙은 우리나라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디지털데일리’는 이들 빅테크의 시장 전략을 분석하고 이에 맞선 맞선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의 도전과제를 살펴본다. <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클라우드가 최근 공공 클라우드 보안 요건인 ‘클라우드보안인증제(CSAP)’를 통과한 가운데, 다음 타자로 대기 중인 아마존웹서비스(AWS)에 관심이 집중된다. 세계 최대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이자 국내 민간 클라우드 시장에 대한 지배력 역시 높은 만큼, 무게감이 다르다는 평가다.
7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AWS는 빠르면 올해 1분기 내 CSAP ‘하’등급 취득이 예상된다. 앞서 MS는 지난해 12월, 구글클라우드는 올해 2월 각각 CSAP ‘하’등급 획득 소식을 알렸다. AWS까지 여기에 합류하게 되면, 글로벌 클라우드 빅3로 꼽히는 이들 빅테크 모두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출이 가시화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AWS가 주목되는 이유는 물론 국내 민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1위 사업자라는 지위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3년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중복응답)를 보면, 국내 AWS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은 60.2%로 2위 MS(24.0%)를 훌쩍 넘긴다. 단순 사용률과 직접 비교하긴 어렵지만 30%대로 집계되는 AWS의 글로벌 클라우드인프라(IaaS) 시장 점유율보다도 2배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AWS는 민간 시장에선 압도적인 경쟁력과 선호도를 갖고 있지만, 외산 CSP로서 보안 요구 수준이 높고 규제가 강한 정부·금융·국방 등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서는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는 그러나 최근 정부가 망분리 보안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펼치면서 또 다른 분기점을 맞았다. 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하려면 반드시 획득해야 하는 CSAP의 경우 이제 ‘하’등급으로 분류된 공공 시스템에 대해서는 망분리를 완화했다. 주로 해외에 서버가 있어 물리적 망분리가 어려웠던 외산 클라우드가 공공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업계에선 AWS가 민간 영역에서 가진 경쟁력을 바탕으로 공공 시장에서도 빠르게 영향력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클라우드 업계 한 관계자는 “AWS는 자국인 미국 시장에서 보면 사실 정부나 병원, 국방 등 공공 분야에 가장 적극적이고 또 잘하는 기업”이라며 “국내에서도 아직은 외산 클라우드 품질이 국산에 앞선다는 인식이 공공연하기 때문에, 일단 공공 레퍼런스가 만들어진다면 기관에서도 다양한 시도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발표한 ‘2022년 ICT기술수준조사’에서 한국의 클라우드 기술은 미국에 1.1년 뒤처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AWS는 CSAP 규제 완화 이후 공공 시장 진출 기대감이 피어오르던 지난해 7월 공공 분야 자체 컨퍼런스를 열어 “대한민국 전자정부는 온프레미스(자체 전산실) 기반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AI 등 신기술 도입을 위해서는 클라우드가 필요하다”며 2027년까지 국내 약 7조8500억원 투자 계획과 함께 AI·데이터를 통한 공공 혁신 전략을 강조하기도 했다.
다만 CSAP가 완화됐다 해도 아직은 숫자가 적은 ‘하’등급 공공 시스템으로 수요가 한정돼 있고, 또 아무리 AWS라 할지라도 그동안 공공 시장에 특화된 기술 투자를 장기적으로 진행해온 국내 CSP의 영역을 단번에 침범하진 못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CSAP ‘하’등급이 열렸다고 해도 당장 올해부터 기관들이 외산 제품을 도입하려 들기보다는 일단 상황을 살피는 분위기가 될 것”이라며 “공공 분야는 결국 보안 관련 규제 준수와 투자가 중요한데, AWS가 국내 시장에서 얼만큼 의지가 있는지 두고봐야 한다”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스카이라이프, 지난해 영업손실 11억원 …"올해 영업익 개선 전망"
2025-02-07 11:23:01SKT·포스텍, AI로 스마트폰 안테나 전송 품질 성능 높인다
2025-02-06 18:07:21[LGU+컨콜] AI로 꿩먹고 알먹고…저수익 사업은 과감히 아웃(종합)
2025-02-06 17:34:21[DD퇴근길] 딥시크 파장, 韓 대응책은?…"정부 파격 지원책 필요"
2025-02-06 16:49:11[LGU+컨콜] "올해 매출 2% 이상 성장"…저수익 사업 정리 속도
2025-02-06 16:34:53日 열도 휩쓴 네이버웹툰 ‘입학용병’, 도쿄서 첫 팝업
2025-02-07 13:58:03[컨콜] 딥시크가 했으니 우리도 충분…네이버, 온-서비스 AI 원년 강조(종합)
2025-02-07 12:00:19액션스퀘어, 넥써쓰로 새단장… 장현국 대표 “트럼프 취임이 기회”
2025-02-07 11:24:31[컨콜]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자사 서비스 최적화 집중"
2025-02-07 11:21:42[컨콜] 네이버 최수연 “딥시크, 후발 주자 가능성 입증”
2025-02-07 10:49:50[컨콜] 네이버, 1684억원 규모 현금 배당…잉여현금흐름 ‘20%’
2025-02-07 10: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