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이 권유승 기자] 정부 부처들이 해킹 우려를 이유로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 사용을 전면 차단하고 나선 가운데, 금융권도 이 같은 행렬에 속속 동참하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날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도 이날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접속 차단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부처와 광역지방자치단체 등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공문을 발송하기도 했다.
금융권도 딥시크 차단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막았으며,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지난 4일부터 접속을 차단했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도 지난 3일부터 외부망에서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4일부터 직원들 PC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으며, 우리은행도 외부망이나 고객용 PC 등에서 접속을 막았다.
인터넷전문은행도 딥시크 서비스를 차단했다. 토스뱅크와 케이뱅크는 각각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마무리 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막고 있는 중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스카이라이프, 지난해 영업손실 11억원 …"올해 영업익 개선 전망"
2025-02-07 11:23:01SKT·포스텍, AI로 스마트폰 안테나 전송 품질 성능 높인다
2025-02-06 18:07:21[LGU+컨콜] AI로 꿩먹고 알먹고…저수익 사업은 과감히 아웃(종합)
2025-02-06 17:34:21[DD퇴근길] 딥시크 파장, 韓 대응책은?…"정부 파격 지원책 필요"
2025-02-06 16:49:11[LGU+컨콜] "올해 매출 2% 이상 성장"…저수익 사업 정리 속도
2025-02-06 16:34:53"시니어 사각지대 해소한다"…오른손케어, 돌봄 및 요양 서비스 제공
2025-02-07 14:43:56[IT클로즈업] 이젠 성우도 IP... ‘목소리’에 움직이는 게임시장
2025-02-07 13:58:56日 열도 휩쓴 네이버웹툰 ‘입학용병’, 도쿄서 첫 팝업
2025-02-07 13:58:03[컨콜] 딥시크가 했으니 우리도 충분…네이버, 온-서비스 AI 원년 강조(종합)
2025-02-07 12:00:19액션스퀘어, 넥써쓰로 새단장… 장현국 대표 “트럼프 취임이 기회”
2025-02-07 11:24:31[컨콜]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자사 서비스 최적화 집중"
2025-02-07 11: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