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정책

“오류 0% AI 모델이 목표”...샘 올트먼이 비공개 행사서 한말은?

샘 올트먼 오픈AI CEO(왼쪽)가 한국을 방문해 '오픈AI 빌더랩 서울' 행사를 마치고 다음 행선지로 이동 중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왼쪽)가 한국을 방문해 '오픈AI 빌더랩 서울' 행사를 마치고 다음 행선지로 이동 중이다.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는 올해 첫 방한 일정으로 국내 AI 기업들 개발자들과 비공개로 만났다. 이날 개발자들과 올트먼 CEO는 AI 시장의 향방과 이에 대한 스타트업 및 기업의 대응책에 대해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질의응답 시간에는 LLM 개발 시장 내 트렌드 변화와 그 변화에 대응하는 오픈AI 전략 등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4일 오픈AI는 개발자 콘퍼런스 ‘오픈AI 빌더랩 서울’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최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AI 기술 트렌드와 더불어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책을 개발자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올트먼 CEO를 비롯해 케빈 웨일 오픈AI 최고제품 책임자(CPO) 등이 참석해 개발자들의 질문을 받았다. 네이버 개발자를 비롯해 국내 대형언어모델(LLM) 솔루션 기업 포티투마루 등 국내 AI 주요 기업 및 스타트업 개발자들이 참석했다.

먼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구축하기 위해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하는 기업이 고려해야 할 점을 묻는 질문에 올트먼 CEO는 “첫 번째 포인트는, 비즈니스 요소들이 계속해서 빠르게 변화할 것이란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며 “작은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만 집중한 채 제품을 만든다면, 금방 구식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각 비즈니스 요소의 장점을 활용하는 제품을 만든다면, 버전이 개선되면서 훨씬 더 가치가 생길 것”이라며 “시간이 지나도 방어할 수 있는(business defensibility) 비즈니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버티컬 서비스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 시작점으로 오픈AI가 전날(4일) 출시한 ‘딥 리서치(deep research)’를 꼽았다. 이번 서비스는 과학 논문 등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AI가 ‘전자상거래’ ‘컨설턴트’ ‘세법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것이 올트먼의 설명이다. 즉, 지금까지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않았던 특정 버티컬 시장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어 한 개발자는 파트너사들과 오픈AI 간의 협업 방식에 대해 질문했다. 오픈AI는 각종 모델을 출시하기에 앞서 버티컬 서비스 협력사에 선 공개해 추가적인 개발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 중이다. 예컨대 영상 생성 AI ‘소라(Sora)’를 선보이는 과정에 영상 제작 플랫폼과 협업해 AI 모델을 보강하는 방식이다.

그는 “많은 파트너사들이 동일한 기본 작업보다는 더 차별화된, 그들만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할 수 있길 바란다”며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이용한 모델 미세조정(fine tuning)을 많이 진행한다”고 답변했다. 또, “오픈AI 제품은 다양한 파트너사 도움을 계속 필요로 할 것이고, 우리는 파트너와 협력해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자 한다.

케빈 웨일 CPO에게는 오픈AI 모델의 오류 문제 대응 전략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오픈AI는 새로운 모델 개발을 거듭하면서 쿼리 오류를 추적하고 이를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결과적으로 챗GPT 시리즈 출시를 거듭할수록 오류도 크게 줄일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웨일 CPO는 “GPT-2는 전체 쿼리의 50% 정도에서 실수를 했고, GPT-3는 20% 정도, GPT-4는 2% 정도 실수를 했다”며 “우리는 실수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른 아이디어들도 연구 중입니다. 모델 추론 능력이 고도화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개선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여기에 올트먼 CEO는 “저희가 도전하고자 하는 연구 과제 중 하나는, 대학 수준의 10억개 수학 문제를 한 번도 실수 없이 풀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올트먼 CEO는 다중 LLM 서비스 제공 계획을 묻는 질문에도 답했다. 다중 LLM은 여러 개의 대형 언어 모델을 동시에 또는 상호 연결해 사용하는 개념이다.

그는 “AI 인터페이스, 즉 사람들이 일반 AI를 사용하고 채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오픈AI는 계속해서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할 것이며, 기본적인 생산성 도구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훌륭한 플랫폼을 만들려고 한다”며 “오거나닉스(organics)와 1차적으로 작업한 것처럼, 앞으로 다양한 분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