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아연'가격 통제 안된다면?… 영풍·MBK, 고려아연 인수후 가격인상 가능성 놓고 산업계 긴장↑

ⓒ연합뉴스

-적대적M&A 성공하면 '아연 → 철' 밸류체인에 후폭풍 예고

-산업계 일각 "사모펀드 수익성 확대 위한 가격 인상 가능성…공급 안정성 훼손에 따른 산업피해도 우려 "

-기초소재 가격 인상에 따른 도미노 제품 가격 상승 가능성도

[디지털데일리 최천욱기자] 영풍·MBK로 고려아연의 경영권이 넘어갈 경우 그동안의 경쟁 체제가 깨지고 영풍·MBK의 아연공급 독점 체제가 탄생하면서 가격 인상 등의 부작용이 생길 것이란 우려도 산업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MBK파트너스와 영풍의 '적대적 M&A' 시도로 이달 23일 고려아연 임시 주주총회가 예정된 상황에서, 산업계에서 향후 상황전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있는 것이다.

14일 산업계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아연 등 국내산업에 있어 핵심적인 소재들이 독점 구조에 놓이는 상황에서 사모펀드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할 경우 가격 인상과 이로 인한 산업계의 후폭풍 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비철금속 업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연의 국내 수요는 약 43만 5000톤에 달한다. 이중 고려아연은 29만 5000톤, 영풍은 10만 3000톤을 공급하고 있다.

국내서 아연을 생산하는 기업은 이 두 기업뿐으로, 국내 아연 공급율의 90%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물류비용에 아연을 필요로 하는 철강업체들에 최적화된 제품 생산의 특정상 해외 제품의 대체가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이를 특정업체가 독점할 경우 부작용이 심각할 것이란 평가다.

아연 가격은 일반적으로 LME(런던금속거래소) 단가를 기본으로 공급사가 프리미엄을 붙여 판매가 이뤄진다. 국내에서도 그간 고려아연과 영풍 두 제조사와 철강상 등 주요 고객사가 적절한 협상과 균형, 상대 측을 의식한 가격 책정 등을 통해 큰 문제없이 원활하게 제품을 공급해 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결국 공급 측면에서나 가격 측면에서 견제와 균형이 적절히 가미한 경쟁 시장이었다는 의미다.

또한 아연은 단순히 아연 시장에만 영향을 주는 게 아니다. 아연은 철의 부식 방지를 위해 필수적인 금속이다. 건설과 자동차와 가전제품의 외장재 등에 쓰이는 철강재의 부식 방지용 도금 원료로 쓰인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아연 공급은 아연 시장 자체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주요 산업 발전 전반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아연 등 비철금속 제련업이 국가기간산업 중 하나로 꼽히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은 해당 당사자들의 이해관계 뿐만 아니라 넓게보면 우리 나라 전체 철·비철금속 및 그와 연계된 각종 산업계와 연결된 매우 민감한 사안이란 평가다.

이런 점에서 MBK와 영풍이 오는 임시주총에서 14명의 이사를 새롭게 고려아연 이사회에 진입시켜 고려아연 장악에 성공할 경우 이들이 국내 아연 시장을 독점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긴장감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 분위기다. 특히 아연과 불가분의 관계인 철강 업계가 이를 더욱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계 전반의 우려가 단순히 기우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MBK가 그간 국내 기업들을 인수한 뒤 투자금 회수 등을 위해 구조조정이나 핵심자산 매각 등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실제로MBK의 경우 사모펀드라는 속성에 더해 특히 고려아연 인수 주체로 알려진 MBK파트너스 6호 펀드의 출자자 즉 자금원의 80% 이상이 해외 자본이라는 점을 주목하고있다. 중국과 중동 등 해외 자금이 유입됐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내 산업계로선 불안 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예를들어 해외 고객사가 더 높은 가격을 부를 경우 국내 판매보다는 해외 판매를 우선하는 등의 부작용도 예상된다는 것이다.

아연 가격 인상은 철강 제품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국내 철강사들의 경우 이미 값싼 중국산의 물량 공세와 원자재 가격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에서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렇다고 국내 철강사들이 수입산으로 손쉽게 시선을 돌릴 상황도 아니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하는 속에서 우리나라가 중국의 아연 공급 의존도가 심화될 경우 미중 갈등과 공급망 경쟁 속에서 큰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