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18일 2024년 제6차 ‘개인정보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개인정보 미래포럼은 개인정보 분야 미래 의제를 선제적으로 논의하고, 산업계·시민사회 등 현장의견을 수렴하는 ‘개인정보 정책 토론의 장’으로 학계·법조계·산업계·시민사회 등의 전문가 42명으로 구성됐다.
인공지능(AI)과 같이 데이터 의존도가 높은 신기술 발전을 지원하는 동시에 안전한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신뢰 확보를 위해 노력해 온 개인정보위는, 올해 마지막 미래포럼인 이번 회의를 통해 이번달 중 공개 예정인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모델’과 ‘합성데이터 생성·활용 안내서’에 대해 논의했다.
박상철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모델’를, 김승환 인하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는 ‘안전한 합성데이터 생성·활용 방안’을 발제했다. 이어 참석자들의 심도 있는 토론이 이뤄졌다.
그간 개인정보위는 데이터 처리가 복잡하고 변화의 속도가 빠른 AI시대에 대응해 세세한 규정(rule)이 아닌 원칙 기반(principle-based) 규율체계 마련 등 개인정보 정책 방향을 설정해 왔다. 또한 AI 개발 핵심 재료인 비정형데이터, 공개된 개인정보, 이동형 영상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 등에 대한 안전한 처리 기준을 제시해 왔다.
앞으로도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보호라는 핵심 가치를 지키면서도, 공익 목적의 AI 개발이 활성화되고 국민 삶을 풍요롭게 하는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탄생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보호 규율체계를 지속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 퉁신 인프라 구축 필요없는 ‘MS 팀즈폰’ 출시
2025-05-07 13:55:14“보안 넘어 국방의 문제” 의지 밝힌 최태원…'위약금 면제'엔 말 아껴 (종합)
2025-05-07 13:28:42최태원, SKT 해킹사고 직접 대응나서…“정보보호위원회 구성할 것”
2025-05-07 11:14:59최태원 회장, 과방위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 제출…최민희 "불허한다" 거부
2025-05-06 22:32:13[PLAY IT] 운동할 때 이어폰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2025-05-06 18:07:17CJ ENM 피프스시즌, 프리미엄 콘텐츠 라인업 본격 확대
2025-05-06 14:32:36위메이드 박관호, "국내 거래소 불합리한 결정에 끝까지 대응"
2025-05-07 11:30:12"웹툰도 AI·숏폼으로 만난다"…네이버웹툰, 글로벌 앱 전면 개편
2025-05-07 11:25:54"BTS 진 컴백온다"…틱톡, 앨범 'Echo' 발매 기념 글로벌 이벤트 잔행
2025-05-07 11:17:21"청주 이어 대구까지"… 빔모빌리티, AI 주차 평가 시스템 도입
2025-05-07 10:52:41카카오게임즈, 1분기 124억 영업손실…"체질개선 지속"
2025-05-07 09:24:49[컨콜 종합] “대만에서도 코카콜라 로켓배송”…쿠팡, 글로벌 확장에 속도
2025-05-07 07: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