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다시는 디지털행정서비스 장애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기적인 점검과 체계적 관리를 가능케 하는 법적근거가 마련됐다.
행정안전부는 행정전산망 장애를 예방하고 장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전자정부법 개정안이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통과된 전자정부법 개정안은 범정부 장애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그동안에는 표준화된 기준이나 지침 없이 기관별로 정보시스템 장애를 관리했기 때문에, 장애 예방과 대응·복구 수준에 편차가 크고 부실하게 관리되는 경우가 많았다.
법 개정에 따라 앞으로는 행정안전부가 정보시스템 장애 예방 및 대응·복구 등 전반에 걸쳐 장애관리에 필요한 지침을 마련하고, 각 기관은 이 지침에 따라 체계적으로 장애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게 된다.
또한 개정안은 1만6000여개 행정정보시스템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하기를 위한 등급제를 법제화한다. 등급제 도입 전에는 정보시스템 중요도나 파급효과 등과 관계없이 시스템을 관리해, 예산 투자가 체계적이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앞으로는 중요 등급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노후장비 교체 및 이중화 등에 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장애 대응·복구 우선순위를 정하는 등 등급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체계가 마련된다.
정보시스템 및 시스템 운영시설에 대해 주기적으로 안정성을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한 근거도 포함됐다. 이제 행정안전부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의 안정성을 진단해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각 기관에 권고하고, 각 기관은 이에 따른 조치계획과 결과를 행정안전부에 통보하는 등 사전예방 점검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장애 사후관리 체계 근거도 제시됐다. 향후 정보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 원인을 파악해 그에 따른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유사한 장애 발생 시 해결방안을 공유해 대응·복구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 전자정부법 개정은 지난 1월 발표한 ‘디지털행정서비스 국민신뢰 제고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행정안전부는 법 시행(공포 후 6개월)에 맞춰 개정된 장애관리체계가 원활히 작동되도록 신속하게 시행령을 개정하고 예방점검기준, 표준운영절차를 마련하는 등 후속조치를 철저히 할 계획이다.
고기동 차관은 “그동안 기관별 분산된 장애관리로 인해 효율적 장애예방·대응에 한계가 있었으나, 범정부적 관리체계가 중심이 돼 디지털행정서비스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됐다”며 “조속히 하위법령과 관련 지침을 마련해 현장에서 실질적인 이행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 퉁신 인프라 구축 필요없는 ‘MS 팀즈폰’ 출시
2025-05-07 13:55:14“보안 넘어 국방의 문제” 의지 밝힌 최태원…'위약금 면제'엔 말 아껴 (종합)
2025-05-07 13:28:42최태원, SKT 해킹사고 직접 대응나서…“정보보호위원회 구성할 것”
2025-05-07 11:14:59최태원 회장, 과방위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 제출…최민희 "불허한다" 거부
2025-05-06 22:32:13[PLAY IT] 운동할 때 이어폰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2025-05-06 18:07:17CJ ENM 피프스시즌, 프리미엄 콘텐츠 라인업 본격 확대
2025-05-06 14:32:36위메이드 박관호, "국내 거래소 불합리한 결정에 끝까지 대응"
2025-05-07 11:30:12"웹툰도 AI·숏폼으로 만난다"…네이버웹툰, 글로벌 앱 전면 개편
2025-05-07 11:25:54"BTS 진 컴백온다"…틱톡, 앨범 'Echo' 발매 기념 글로벌 이벤트 잔행
2025-05-07 11:17:21"청주 이어 대구까지"… 빔모빌리티, AI 주차 평가 시스템 도입
2025-05-07 10:52:41카카오게임즈, 1분기 124억 영업손실…"체질개선 지속"
2025-05-07 09:24:49[컨콜 종합] “대만에서도 코카콜라 로켓배송”…쿠팡, 글로벌 확장에 속도
2025-05-07 07: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