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 기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회장 손승현)는 3GPP 운영기관인 미국 ATIS, 유럽 ETSI, 일본 ARIB, TTC, 중국 CCSA 및 인도 TSDSI와 6G 글로벌 이동통신 규격을 개발한다고 4일 밝혔다.
3GPP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협력 기구로, TTA는 1998년 12월 3GPP를 미국, 유럽, 중국, 일본, 인도 등 7개의 표준기관과 공동 창립해 운영 중이다. 현재 860여 개 회원사가 3GPP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번 3GPP의 공동선언은 최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통신총회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해 지난 11월에 승인된 6G 비전에서 제시한 사용 시나리오 등을 기반으로 6G 기술 규격 개발을 공식화한 것이다.
이동통신 국제표준은 ITU에서 정한 큰 방향성을 기반으로 3GPP가 구체화한 기술과 표준을 ITU에 제안하면, ITU가 최종적으로 제안된 기술과 표준을 평가하고 승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단말이나 기지국 등 네트워크 장비·부품 개발의 근간이 되는 산업표준은 사실상 3GPP에서 이뤄지는 만큼, 3GPP 표준특허 선점을 위해 각국 기업이 치열하게 경쟁한다.
현재 5G 산업표준은 릴리즈 15부터 17까지다. 3GPP는 현재 5G 진화모델(5G-어드밴드스) 규격인 릴리즈 18을 개발 중이며, 곧 릴리즈 19의 표준화를 시작할 예정이다.
6G 규격인 릴리즈 20의 표준화 논의는 2024~2025년에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구체적인 6G 표준개발 일정은 오는 11일부터 15일까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개최되는 3GPP 기술총회에서 논의된다.
지난 10월 3GPP 최상위 조정위원회 부의장으로 선출돼 내년부터 활동 예정인 TTA 구경철 표준화본부장은 "6G는 초광대역·초저지연·초연결 기반의 5G 영역을 확장하고, AI와 센싱과의 결합을 토대로 한 새로운 서비스를 목표로 한다"며 "3GPP에서도 무선 인터페이스에 인공지능 적용, 센싱 채널 모델 연구 등 6G 가교 기술에 대한 논의를 본격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손승형 TTA 손승현 회장은 "우리나라가 주도한 6G 비전이 ITU 전파통신총회에서 지난달16일에 승인된 데 이어 3GPP 창립 25주년을 맞은 오늘 TTA가 3GPP 운영기관들과 함께 6G 기술 규격 개발 공동 선언을 발표하게 돼 뜻깊다"며 "우리나라가 6G 표준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TTA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참여연대 "불법 영업한 전광훈 알뜰폰, 사업자등록 취소해야"
2025-04-15 18:10:01과방위원 만난 LGU+ 홍범식 “AI 국가대항전, 국회-민간 실질 협력 필요”
2025-04-15 11:00:00SKT·SK텔링크, 글로벌 최초 '기내 와이파이 자동 로밍 서비스' 출시
2025-04-15 10:36:49GS샵 “1분기 여행상품 상담 주문 20% 증가”…가정의 달 수요 선점 나선다
2025-04-15 10:21:50[일문일답] CJ ENM "엠넷 30주년, 더 넓은 세계로 간다”…글로벌 전략은?
2025-04-15 19:20:07CJ ENM-애플TV+ 손잡는다…글로벌 음악 경연 프로그램 제작
2025-04-15 18:46:26CJ ENM·엠넷, 올해 30주년…‘글로벌 삼각 전략’ 본격 가동
2025-04-15 18:08:58"男 신병3·女 나는 솔로"…ENA, '젊은 채널' 이미지 굳힌다
2025-04-15 17:27:39[DD퇴근길] "세금 덜 내려 매출 축소?"…구글코리아, 법인세 회피 논란
2025-04-15 17:02:13기안84·진·지예은 "눈물나게 힘들어서 절친됐다" [일문일답]
2025-04-15 16:3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