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네이버클라우드는 최근 오픈한 네이버의 신규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 구축된 슈퍼컴퓨터 ‘세종’이 미국 덴버 콜로라도주에서 열린 고성능 컴퓨팅 국제 컨퍼런스 ‘SC23’에서 공개된 ‘톱500’에서 22위를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슈퍼컴퓨터 '세종'의 연산 능력은 최대 32.97플롭스(PFlops)로 올해 11월 기준, 국내 슈퍼컴퓨터 중 최고 성능이다.
네이버는 2020년 하반기부터 슈퍼컴퓨터를 구축·운영 중이다. 새롭게 구축한 슈퍼컴퓨터 세종은 기존에 구축했던 슈퍼 컴퓨터의 2배 규모다. 네이버는 각 세종을 기반으로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인공지능(AI) 비즈니스 확대를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세종은 엔비디아 A100 텐서 코어 그래픽처리장치(GPU) 2240개로 구성돼 있다. 엔비디아 퀀텀 인피니밴드 네트워킹 플랫폼과 인네트워크 컴퓨팅을 통해 저지연,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슈퍼 컴퓨터 전용으로 3.6페타바이트(PB)의 스토리지를 구축했다. 구축된 스토리지 네트워크 대역폭은 22테라비트퍼세컨드(Tbps)다.
네이버는 슈퍼컴퓨터가 위치한 지역의 명칭이자 한글 데이터의 생성과 확산에 전환점을 마련한 세종대왕의 뜻을 기려 슈퍼컴퓨터에 ‘세종’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덧붙였다고 전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각 세종의 운영을 담당한다.
네이버클라우드의 이상준 최고정보책임자(CIO)는 "최근 슈퍼컴퓨터가 AI 주도권 확보를 위한 필수 인프라로 인식되면서 해당 국가, 기업의 기술 역량을 보여주는 지표로 자리잡고 있다"며 "글로벌 수준의 슈퍼컴퓨터를 보유한 네이버는 이를 기반으로 AI 기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비영리단체인 ‘톱500’은 1993년부터 매년 6월과 11월에 두 차례에 걸쳐 전 세계 500대의 슈퍼컴퓨터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국내 슈퍼컴퓨터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22위인 네이버의 각 세종이다. 각 세종에 이어 삼성종합기술연구원의 ssc-21이 28위, 기상청의 구루가 48위, SK텔레콤 타이탄이 59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누리온이 61위, KT의 DGX 슈퍼POD가 72위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현모 “응용AI 만이 살 길”…우수사례로 ‘LG AI 연구원’ 언급
2025-05-14 15:39:20갤S25 엣지 공시지원금, 최대 25만원…KT가 제일 많아
2025-05-14 15:33:20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 지역·중소방송 정책과제 논의한다
2025-05-14 15:12:20SKT, 취약계층 방문 서비스 다음주부터 시작…"유통망 소통체계 강화"
2025-05-14 11:11:42KT, AI로 보안서비스 강화 “디도스 막고, 피싱메일 탐지”
2025-05-14 10:11:08SKT 해킹 피해…SK그룹,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 신설
2025-05-14 09:16:37민주당 게임특위, 게임사 노조와 간담회 개최…“노동환경 개선 과제 논의”
2025-05-14 15:31:53위메이드 박관호 "차기 정부선 블록체인 육성정책 기대" (컨콜 종합)
2025-05-14 15:12:52월 방문 1000만 사이트도 항복…카카오엔터, 자체 기술로 불법웹툰 막는다
2025-05-14 13:49:12VFS–소니 픽소몬도, 가상 프로덕션 전문가 양성 맞손
2025-05-14 11:04:27“아이온2, 리니지 라이크와는 달라”…엔씨가 내년 매출 목표 내세운 이유(종합)
2025-05-14 10:5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