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에이수스, 대장암 검진 위한 AI 솔루션 개발 협력 [ⓒ 인텔]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인텔은 에이수스와 함께 대장암 검진을 위한 AI 솔루션 개발에 협력해 왔다고 20일 발표했다.
에이수스 AI 내시경 시스템은 인간의 눈으로 식별하기 전 단 몇 밀리초 내에 대장 용종을 식별한다. 지난 11월에 출시된 에이수스 엔도에임(EndoAim) AI 내시경 시스템은 손바닥 크기의 솔루션으로, 대장내시경 검사실에 비치돼 있는 다른 큰 기기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에이수스 엔도에임 시스템은 대장내시경 카메라에서 전달된 비디오 데이터를 인텔 11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한 에이수스 미니PC에 제공한다. 최대 60프레임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은 의심되는 용종 및 기타 이상 요소를 의료진이 즉각 파악할 수 있도록 녹색으로 표시해 즉시 분류한다. 한 번에 여러 용종을 표시할 수 있다. 에이수스는 임상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솔루션이 실시간으로 최대 50개의 용종을 표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결과는 임상 시험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난해말, 대만의 한 의사는 엔도에임의 초기 버전을 사용해 일반적인 대장내시경 검사 중 여덟 개의 용종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올해 3월 초, 또 다른 의료진이 엔도에임을 활용해 환자의 대장 가장 깊은 곳에 숨겨진 0.3센티미터(cm) 크기의 아데노마를 식별할 수 있었다.
세계 암 연구 재단에 따르면 대장암은 지난 2020년 약 2백만 건의 새로운 사례가 발견되는 등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흔히 발병하는 암이다. 결장 관련 암 진단 과정은 간단하다. 대부분의 성인은 60세가 되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다. 다만, 대장 내 약 1.8m(6피트) 전체에서 이상 증상을 발견하는 과정은 아직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의료진은 수 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된 손기술, 예리한 시력 및 세심한 집중력으로 해당 과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의료진도 인간인 만큼 검진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대장 벽면에 발생하는 종양인 아데노마(adenoma)의 검출율은 하루 동안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8년 연구에 따르면, 이 현상은 주로 작업자들이 절차를 서둘러 수행하거나 인간의 피로도로 인해 영향을 받는다.
CNN에 따르면, 미국에서 매년 1500만 건에 달하는 대장내시경 검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극히 낮은 비율이라도 검출 누락의 위험은 우려할 수준이 된다.
현재 에이수스 엔도에임 솔루션은 대만 가오슝 보훈종합병원(Kaohsiung Veterans General Hospital), 국립양명교통대학교병원(National Yang Ming Chaio Tung University Hospital), 디안투스 의료그룹(Dianthus Medical Group), 닥터리 클리닉(Dr. LEE Clinic) 및 Ansn 클리닉 등 총 5개 의료 시설에서 활용 중이다.
인텔 엔지니어들은 에이수스가 오픈비노TM(OpenVINOTM) 툴킷을 포함한 인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다양한 환경에서 가장 작은 용종까지 감지할 수 있도록 AI솔루션을 최적화했다.
에이프릴 양 에이수스 엔도에임 프로젝트 매니저는 시스템 개발을 가속화하고 2년 내에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코드를 원활하게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는 역량이 “우리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의 목표는 대만에서 엔도에임 솔루션의 효과를 입증하고 AI가 의료진을 실제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라며 “자동차의 첨단 운전 보조 시스템(ADAS)과 마찬가지로 AI는 의사를 대체하지 않고도 신뢰할 수 있는 보조자의 역할을 하여 고품질의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인텔과 에이수스는 디스플레이 출력과 컴퓨팅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엔도에임을 향상시키고 다른 의료 분야 기술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양 매니저는 에이수스가 더 높은 4K 해상도로 미래 솔루션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설명하면서 “우리는 더 많은 컴퓨팅 성능이 필요하며 현재 인텔 13세대 프로세서 제품군을 테스트하고 있다” 며 “의사와 의료진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인텔과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신3사, 1분기 예상실적 ‘청신호’...“비용절감 효과 본격 가시화”
2025-04-12 17:56:23[딜라이트닷넷] 통신3사, ‘AI 브랜드’ 강화 나섰다…AI 전문기업 전환 속도
2025-04-11 17:31:18'ICT 협력채널' 한일중 ICT 장관회의 개최…7년만에 재개
2025-04-11 17:13:15[전문가기고] “지역경제 숨통, 케이블TV 지역광고 규제완화가 마중물”
2025-04-11 14:32:28"너흰 못 보는데 왜"…中 휩쓴 '폭싹 속았수다' 김선호 챌린지
2025-04-11 13:49:19‘닌텐도 스위치2’ 전용 인기 타이틀 ‘美 관세게임’…베트남산 ‘부랴부랴’
2025-04-12 08:57:38카카오 김범수, 재판 불출석…"수술 회복중, 당분간 참석 어려워"
2025-04-11 18:13:14[DD퇴근길] 점유율 높인 '쿠팡이츠서비스', 영업이익률이 1.1% 라고?
2025-04-11 17:14:55"장애인 여행객도 자유롭게"…놀유니버스, 무장애 여행 캠페인 진행
2025-04-11 17:13:39하이브·경기북부청 공조…아티스트 딥페이크 범죄 피의자 검거
2025-04-11 17:12:56카카오, OECD 회의서 '상권 살리기' 성과 발표…"단골 1만명 확보"
2025-04-11 16:1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