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국 LG이노텍 책임연구원 (사진=LG이노텍)
[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이성국 LG이노텍 책임연구원이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가 주최한 제58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올해의 발명왕'과 '산업포장'을 동시에 수상했다.
12일 LG이노텍에 따르면 최 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용 '고배율 광학식 연속줌 카메라 모듈(이하 광학식 연속줌)'에 필요한 '광학식 손떨림 보정(OIS)' 기술을 개발한 공을 인정받아 동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발명의 날(5월 19일)’은 국민들에게 발명의 중요성을 알리고, 국가 산업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를 시상해 발명인들에게 감사를 전하는 의미로 제정된 날이다. 이 연구원이 수상한 발명왕은 특허청장상 격에 해당하며 산업포장은 일종의 훈장이다.
발명왕 선정은 그해 발명가 1인의 명예와 업적을 기리면서 발명가가 국민에게 존경받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발명왕에 선정되면 ‘발명인의 전당’에도 이름을 올리게 된다.
광학식 연속줌은 DSLR 등 전문 카메라에 적용되던 기능이다. 기본 줌에서 3배줌, 4배줌, 5배줌 등으로 배율을 높여도 선명한 이미지를 찍을 수 있다.
반면 스마트폰 카메라는 주로 정해진 광학식 배율에서는 선명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고 그 외 배율에선 소프트웨어 보정 기술이 적용돼 화질 저하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10배 광학줌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소프트웨어 보정이 적용되는 9배 줌이 10배 광학줌보다 화질이 좋지 않은 이유다.
LG이노텍은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2021년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용 광학식 연속줌 카메라 모듈을 개발했다. 이때 주요 부품으로 이 연구원이 개발한 '연속줌 엑츄에이터'는 모든 배율 구간에서 화질 저하가 없도록 돕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고배율 광학식 연속줌 카메라모듈 (사진=LG이노텍).
고배율일수록 렌즈 구동거리가 길기 때문에 구동거리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원이 개발한 줌 액츄에이터는 이를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단위로 정밀하게 다룰 수 있는 제어 기술이 적용됐다.
이를 기반으로 LG이노텍은 올해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CES)에서도 광학식 연속줌으로 혁신상을 수상했다. 광학식 연속줌이 전량 수출되는 쾌거도 거두고 있다. 아울러 이 연구원은 지난 5년 동안 국내 특허 116건, 해외 특허 147건을 출원하는 등 지적재산권 확보에서도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있다.
이 연구원은 “기업과 국가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것 같아 자랑스럽다”며 “LG이노텍에서 미래 수요를 예측하고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과 제품을 꾸준히 발명해낼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KT “AI로 392건 보이스피싱탐지, 160억원 피해예방 효과”
2025-04-07 10:12:28[인터뷰] “메시지 마케팅 시장, 지속 성장 중”...iM택시가 KT 택한 이유는?
2025-04-07 09:00:00SKT, AI 학습데이터 확보 온힘...’그랜드데이터’ 협력사 확장
2025-04-06 12:25:32카카오게임즈, 장애인 게임 접근성 높인다…3년 연속 보조기기 지원
2025-04-07 14:49:33지그재그, 온·오프라인 '뷰티 페스타' 개최…최대 97% 할인
2025-04-07 14:05:30[빅테크 24시] 美-中 보복 관세에 틱톡 인수 불발…트럼프는 '자신만만'
2025-04-07 13:31:50에이블리, 지난해 거래액 2조5000억…사상 최대 실적 기록
2025-04-07 13:16:20국산 신작 4종 흥행 질주… 빅3 게임사, 성장 엔진 달았다
2025-04-07 11:2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