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구글이 생성 인공지능(AI) 챗봇 '바드(Bard)'를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180개 국가에 전면 개방됐다. 특히 기존에 영어로만 제공하던 것과 달리 한국어와 일본어가 추가되며 편의성이 높아졌다. 오픈AI의 챗GPT와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구글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쇼어라인 엠피씨어터에서 개최한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I/O)'에서 '바드'의 전면 공개를 알렸다. 바드는 앞서 지난 3월 출시됐지만 미국과 영국 대기자 일부만 이용할 수 있었다.
순다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바드'의 향상된 기능과 함께 한국어와 일본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혀 이목을 끌었다. 추후에 40개 언어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회기다.
'바드'에는 구글의 최신 언어 모델(LLM) '팜2(PaLM)'가 탑재됐다. 팜2는 지난해 4월 선보인 팜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10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5300억개의 파라미터(매개변수)를 바탕으로 과학과 고급수학, 코딩 등이 가능하다.
또, 사용자의 질문에는 이미지로 답변하는 기능도 추가됐다. 조만간 구글 렌즈를 결합해 사진을 분석하는 등의 지시도 가능해진다. 이밖에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다크모드와 코딩 시 출처 표기, 바드의 답변을 구글 지메일과 문서로 내보내는 기능도 제공한다.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다크모드(어두운 화면에 흰 글자) 기능이 적용됐다. 다음 주부터는 답의 출처 표기 기능도 추가된다. 바드 답변은 바로 구글 G메일과 문서로도 내보낼 수 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DD퇴근길] "세상에서 가장 얇은 폰"…삼성, '갤럭시 언팩'서 보여준다
2025-05-12 17:17:23[컨콜] SKT, 대규모 고객 이탈에 “신뢰 확보 위한 비용 지불 불가피”
2025-05-12 17:08:02NHN, 올 1분기 영업익 276억원…전년비 1.3%↑
2025-05-13 08:56:58라이즈, 엠넷플러스 오리지널 예능 '숨바꼭질' 세 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5-12 17:54:22kt밀리의서재, 창사 이래 분기 최대 실적…'텍스트힙' 열풍 통했나
2025-05-12 17:54:08구글, 또 다시 지도 반출 요청…“국가 경쟁력 위태” 산업계·학계 우려
2025-05-12 17:53:33미니쉬테크놀로지, 美 LA서 공개한 '헬스테크' 청사진은?
2025-05-12 17:3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