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4분기 이어 올해 1분기도 ‘먹구름’
- TSMC vs 삼성전자, 점유율 격차 확대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기업들이 전방산업 부진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올해 상반기까지 이러한 분위기가 이어질 전망인 가운데 하반기 반등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14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022년 4분기 전 세계 10대 파운드리 업체 매출은 335억3000만달러(약 43조8000억원)로 전기대비 4.7% 하락했다.
트렌드포스는 “2023년 1분기에는 계절적 비수기와 불확실한 거시경제로 감소 폭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간 1위 대만 TSMC 매출은 1.0% 뒷걸음질했다. 대신 점유율은 56.1%에서 58.5%로 증대했다. 60%에 육박하는 수치다. 상대적으로 티어2, 티어3 파운드리에 부정적 영향이 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위 삼성전자 매출은 전기대비 3.5% 축소했으나 점유율은 15.5%에서 15.8%로 소폭 늘었다. 다만 TSMC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퀄컴과 엔비디아가 TSMC로 넘어간 여파가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일 삼성전자는 사업보고서를 통해 “파운드리 산업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대규모 봉쇄, 미국 금리 인상 등을 기점으로 작년 하반기부터 둔화하고 있다. 올해 1분기도 수요 약세가 유력하다”며 “하반기부터는 수요 개선 및 공급망 정상화에 따른 점진적 시장 회복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력적 방송심의는 흉기…사업자 중심 자율심의가 시대정신”
2025-05-17 14:30:00[OTT레이더] ‘배구여제’ 김연경의 마지막 스파이크…생중계로 감상해볼까
2025-05-17 10:09:44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쇼핑 재승인 결정…2032년까지
2025-05-17 05:06:24알뜰폰 증가률 1%대 회복…1만원 5G 요금제 효과 가시화?
2025-05-16 17:40:35[현장] 서울 성수서 셀럽 사로잡은 ‘칼 라거펠트’ 철학…“한국 사랑 돋보이네”
2025-05-16 14:59:11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