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정부가 이르면 내년 1월, 늦어도 3월부터 실내에서도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코로나19 고위험군이 많은 일부 시설을 제외하곤 마스크 착용이 ‘자율’로 전환한다는 계획이죠. 3년 가까이 필수 아이템으로 여겨지던 마스크 중요성이 점점 떨어질 듯 합니다.
시장은 자연스럽게 뷰티 시장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마스크 벗는 시기가 다가오면서 소비자들이 화장품 구매에 열을 올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죠. 사실 이미 엔데믹 전환이 시작된 올해부터 뷰티 상품이 급속도로 인기를 얻었습니다. CJ올리브영 같은 헬스앤뷰티(H&B) 업체부터 쿠팡·컬리·11번가·SSG닷컴·롯데온 등 이커머스 업체들은 일제히 ‘전문관’ 개설 등 관련 카테고리를 강화하고 있죠.
온라인에서도 화장품을 살 수 있는 곳들이 많아지면서 소비자들은 넓어진 선택지에 고민이 생겼습니다. 이에 업체들은 ‘최저가’를 내세우기도 하지만 소비자 편의성을 위해 여러 새로운 서비스들을 접목하기도 합니다. SSG닷컴과 롯데온은 뷰티 전문관을 개설해 이미 검증된 백화점·면세점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외 업체들도 라이브커머스와 개인화 추천, 고객참여형 제품 개발 등을 도입하는 추세입니다.
컬리는 지난달 ‘뷰티컬리’를 정식으로 문열었습니다. 주목을 끌고 인지도를 쌓기 위해 블랭핑크 제니와 다비치 강민경 등 유명 연예인들을 섭외했는데요. 여기 더해 열흘 동안 에스티로더·맥·아베다·랑콤·설화수 등 10개 프리미엄 브랜드와 릴레이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했습니다. 이중 8일 진행한 맥 라방에선 시작과 동시에 시청자 수가 3만명을 넘어섰습니다. 90분간 총 시청자 수는 6만명을 넘어섰죠.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현장] 10년간 115팀 투자…네이버 D2SF가 만든 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2025-05-13 12:00:00비스테이지+, 위챗 미니프로그램 론칭…中 팬덤 시장 노크
2025-05-13 11:26:20kt 밀리의서재-지니뮤직, 하이라이트 낭독 '사랑의 생애' 오디오북 공개
2025-05-13 10:25:28“게임 활약 아쉽네” NHN, 2분기부터 핵심 사업 ‘선택과 집중’ 펼친다(종합)
2025-05-13 10:11:57컴투스홀딩스, 1분기 영업손실 32억원…"하반기 신작 5종 출시"
2025-05-13 09:5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