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권고는 10월 29일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이태원 핼로윈 사고를 악용한 사이버공격 시도가 발견된 데 따라 내려졌다. 사고로 인한 혼란을 틈타 정부·공공기관 등을 사칭한 해킹메일이나 관련 영상, 이미지, 문서파일로 악성코드를 유포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실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가 배포한 참사 관련 보고서를 사칭한 ‘가짜 문서파일’이 확인되기도 했다. 구글의 무료 파일 검사 웹사이트 바이러스 토탈에서는 1일 ‘221031 ★ 서울 용산 이태원 대처(06시)’, ‘21031 ★ 서울 용산 이태원 사후 대처(18시)’ 등이 악성 파일로 스캔돼 있는 상태다.
KISA는 송신자 주소를 정확히 확인하고, 모르는 이메일 및 첨부파일은 열람하지 않거나,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주소(URL)는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고 전했다. 또 운영체제(OS) 및 자주 사용하는 문서 프로그램에 대한 최신 업데이트 수행, 백신 프로그램 업데이트 및 수시 검사 등 기본적인 보안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AI 투자, 개별기업 감당 못해…정부 전략적 역할 필요"
2025-05-15 16:24:51넷플릭스 광고요금제 가입자, 9400만명 돌파…”콘텐츠 만큼이나 광고에 집중”
2025-05-15 15:35:102분이면 숏폼 영상 ‘뚝딱’…KT, AI로 콘텐츠 제작 밸류체인 혁신
2025-05-15 15:11: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사내설명회 이유 있었나…이해진 최측근 최인혁, 네이버 복귀
2025-05-15 17:09:27K-엔터 4대장, 엇갈린 1분기 성적표…2분기 ‘호실적’ 기대감 고조
2025-05-15 16:29:34티캐스트 E채널 '류학생 어남선', 양방향 IP로 승부수 [일문일답]
2025-05-15 15:55:14카카오, ‘브랜드 메시지’ 출시…"스팸 가능성 원천 차단"
2025-05-15 14:5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