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클라우드뉴스

[주간 클라우드 동향/7월③] 클라우드발 관리 포털 주도권 전쟁 시작?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복잡해진 기업의 IT인프라의 효율적인 운영 및 자동화 등을 모색하는 ‘위드 데이터 시대, 데이터센터 퀀텀 점프 2022 컨퍼런스’가 지난 14일 명동 은행연합회 2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됐습니다.

기업의 IT운영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기업의 IT비용 효율화와 타임투마켓을 위한 민첩성 확보, 그리고 관리 용이성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클라우드가 오히려 기업의 복잡성을 키우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입니다.

이는 기업의 클라우드로의 전환이 혼재돼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과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등 업무 특성에 따른 IT인프라가 다양해지면서 기업 입장에선 오히려 관리 포인트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이를 해결해 줄 기술로 ‘자동화’를 중심으로 하는 IT운영자동화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세미나에서도 이같은 내용이 강조됐습니다. 애플리케이션 SW부터 하이앤드 스토리지, 서버, 네트워크 등 물리적 장비에 이르기까지 자동화를 운영체제 안으로 포함시키면서 기업의 관리 부담을 덜어주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공공 및 산업 전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979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하드웨어 인프라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정의, 클라우드 운영, 데브옵스 등과 관련된 다양한 IT 기술이 유기적으로 통합되고 있는 과정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든다는 전략입니다.

이처럼 앞으로도 이러한 자동화 물결은 IT벤더들은 물론 정부차원의 지속적인 성장 로드맵에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클라우드로 촉발된 관리 효율화 및 자율화는 결국 누가 통합뷰와 대쉬보드를 제공할 것이냐, 즉 기업 IT운영에 있어 ‘가시성 확보’의 포털을 누가 장악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물리장비 업체는 물론 SW업체들까지 가시성 제공을 위한 관리 포털을 만들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포탈에 포인트 솔루션부터 IoT까지 아우르는 거대 관리 포털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기업 시장에서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는 IT벤더 입장에선 이러한 포탈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른바 ‘턴키(Turn Key)’ 방식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가져가려는 거대 IT벤더들의 움직임도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인수합병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있는 기업들은 아무래도 하나의 우산 아래서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포트폴리오의 가시성을 한번에 확보할 수 있는 포털 개발에 강점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 이른바 독립부대로 일컬어지는 포인트 솔루션 업체들과 일부 대형 벤더에 속해 있지않은 장비업체들은 합종연횡을 통해 연결성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결국 양 진영 모두 긴밀하게 연결되는 생태계 확보에 누구보다 열심인 상황으로 이 또한 클라우드가 불러온 부수적 효과라 볼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지난주 국내에 전해진 국내외 클라우드 관련 소식입니다.

개별 기사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는 분은 기사 제목을 검색하시면 전체 내용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한국이 주도한 SaaS 품질모델, ISO/IEC 국제 기술규격으로 제정=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이 주도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품질모델이 ISO/IEC 국제 기술규격으로 제정됐다고 밝혔다.

국제 기술규격으로 제정된 SaaS 품질모델은 기존 소프트웨어(SW)의 특성에 더해 결합된 자원 이용률, 확장성, 접근성, 서비스 측정성, 셀프서비스 지원성 등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보해야 할 품질특성을 추가하고 기존 SW 특성도 클라우드에 맞게 변경한 것이 특징이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의 나머지 영역인 서비스형 인프라·플랫폼(IaaS·PaaS)를 대상으로 모델을 확장, 국제 기술규격을 국제표준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SI에서 MSP로, 저가경쟁 대물림?··· 클라우드가 드리운 그림자=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큰 금액의 적자를 보며 사업을 하는 기업들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그리고 그 문제의 원인으로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기업(MSP)이 지목됐다.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AWS를 중심으로 한 외국계 CSP의 점유율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인데, 그 첨병이 MSP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MSP가 자신의 마진을 낮춰가며 외산 CSP의 서비스를 판매하다 보니 국내 CSP도 가격을 낮추는, MSP뿐만 아니라 CSP까지도 출혈경쟁을 하도록 만드는 악순환에 빠졌다고 성토한다.

다만 산업계의 의견이 통일된 것은 아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심정적으로는 공감하나 모두 수긍하기는 어렵다. SaaS 사업을 할지 말지는 SW 기업이 판단하고 투자할 문제다. 정부나 CSP가 지원을 한다면 좋은 일이지만, 지원을 안 한다고 해서 SaaS가 안 될 것이라는 주장은 자생력이 없다는 비판을 살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시스코-에스넷시스템-오케스트로, 공공 클라우드 디지털 혁신 위한 업무협약 체결=시스코 시스템즈가 ICT 전문기업 에스넷시스템, 클라우드 플랫폼 전문기업 오케스트로와 공공 클라우드 디지털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3사는 공공 부문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관리 솔루션을 포함한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들의 클라우드 전환을 돕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이에 시스코, 에스넷시스템, 오케스트로 3사는 보유하고 있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기술과 관련 역량을 통합하여 최적의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고 이를 공공 클라우드 사업에 공급하기 위한 전략 수립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한다.

◆애자일소다, AWS 파트너 패스 획득 통해 클라우드 사업 본격화=애자일소다가 아마존 웹서비스와 파트너사의 유연한 협력 관계를 지원하는 AWS 파트너 패스(AWS Partner Path) 중 소프트웨어 패스(AWS Partner Software Path)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애자일소다는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술과 서비스를 온프레미스 뿐 아니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업무에 특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oftware as a Service, SaaS)형태로 제공할 계획이다.

◆IBM “애자일 뱅킹·금융 위한 앱 현대화 여정, FSW로 지원”=한국IBM은 <디지털데일리>와 함께 ‘디지털 금융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세대 코어뱅킹 및 핵심 업무 현대화’를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토마스 본(Tomas Bohn) IBM 엑스퍼트 랩스 수석 아키텍트는 애자일 뱅킹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한 앱 현대화 방안을 소개하고, 금융 앱 현대화를 위한 통합 플랫폼인 ‘파이낸셜 서비스 워크벤치(FSW)’를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FSW는 오픈소스를 활용, 다른 신기술과의 호환성이 높다. 비즈니스 분석가와 개발자는 역할에 맞게사용자 정의된 도구를 사용, 마이크로서비스를 설계·구현·구축·테스트할 수 있는 로우코드 및 코드 협업 환경을 지원한다. 앱 현대화·디지털화를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여러 기능을 갖췄다. 자체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프라이빗 클라우드 등 어떤 환경에서도 구동 가능한 것 역시 강점 중 하나다. 또 클라우드에 친숙하지 않은 전통 개발자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 역시 강점으로 내세웠다.

◆티맥스소프트-한국HPE, 손잡고 클라우드 기반 PaaS 시장 공략=소프트웨어(SW) 기업 티맥스소프트는 한국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와 서비스형(As a Service) 비즈니스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 협력으로 티맥스소프트의 웹애플리케이션서버 ‘제우스’, 웹서버 ‘웹투비’와 HPE의 ‘그린레이크 클라우드’를 연동시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 티맥스소프트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그린레이크 프라이빗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제우스/웹투비 어플라이언스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