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더 ‘귀하신 몸’ 만든 단건배달...편리함 주지만 배달료 인상 불가피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 증가로 수혜를 입은 업종 중 하나는 배달업이다.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연말에도 배달주문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배달주문 앱들은 주문이 많을수록 적자 폭이 커지는 딜레마를 겪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달주문 시장은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 배달시장 규모는 2017년 2조9600억원을 2019년 9조7300억원으로 급상승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는 전년대비 2배 이상 성장한 약 20조원을 기록했다. 배달 기술 발달과 비대면 수요 증가가 시장 성장 속도를 가속화 했다는 분석이다.
배달앱 결제액도 역대 최대치를 달리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은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올해 1~10월 누적 결제추정금액 합계가 19조3769억원으로 전년동기(10조1000억원) 대비 91%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배달앱 3사 결제규모는 24조원을 넘어선다.
이러한 호황 속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등 배달주문 앱 주요 3사는 마냥 웃지 못하고 있다. 경쟁이 과열되면서 수익성은 되레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심엔 올해 대세로 떠오른 ‘단건배달’이 있다. 단건배달이란 배달기사가 주문 한 건에 대해서만 배달하는 1대1 배달 방식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점공개’ 전략 접은 KT…“OTT에도 지니TV 오리지널 콘텐츠 공급”
2025-04-06 12:20:00통합만 해왔던 미디어+ICT 거버넌스, 올바른 개편 방향은? [IT클로즈업]
2025-04-06 07:00:00머스크의 스페이스X, 8.6조원 규모 美 국방부 위성 사업 수주
2025-04-05 12:47:15[OTT레이더] “이병 성윤모…” 본격 군생활 코미디 드라마가 돌아왔다
2025-04-05 11:08:27[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법원, 방통위의 KBS 신임감사 집행정지 신청 ‘기각’
2025-04-04 19:41:00[콘텐츠뷰] '내가 죽기 일주일 전'…달콤쌉쌀한 인생의 다크초콜릿
2025-04-06 11:31:38[윤석열 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2030 표심에 ‘게임 공약’ 다시 부상하나
2025-04-05 12:46:43[윤석열 파면] "네이버·다음 프로필, 前 대통령"…페북·인스타 소개글은?
2025-04-04 18:23:3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