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이하 엔씨(NC))와 넥슨, 넷마블 등 국내 게임업계 중심축인 3N은 금융권과의 협업을 통해 신사업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다.
엔씨(NC)는 핀테크와 정보기술(IT) 산업, AI 기술을 접목하는 신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관련 인력과 조직을 꾸리는 중이다. 이와 함께 디지털 금융시장과 AI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분석해 금융 신사업 방향성을 설정하고 있다. 또, 신사업 관련 글로벌 확장을 염두한 해외 사업체와의 파트너십도 고려 중이다.
금융 AI로 수익화가 가능한 서비스도 본격화시킬 계획이다. 엔씨(NC)는 지난해 10월 KB증권 등과 함께 핀테크 기업인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에 투자해 합작법인(JV) 형태 AI 간편투자 증권사를 출범한 바 있다.
엔씨(NC)는 자사의 자연언어처리(NLP) 기술과 KB증권, 디셈버앤컴퍼니의 금융 데이터를 접목해 자산관리에 대한 조언을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AI PB(Private Banking)’ 개발에 나선다. 또, AI PB를 디셈버앤컴퍼니의 맞춤형 로보어드바이저(로봇과 어드바이저의 합성어) 서비스인 ‘핀트(Fint)’와 결합해 차별화된 AI 금융투자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하나은행은 게임에 익숙하고 디지털을 선호하는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위해 새로운 디지털 혁신을 시도 중이다. 디지털 금융 시대를 맞아 MZ세대를 위한 스마트 금융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하겠다는 전략을 펴고 있다. 디지털과 모바일 네이티브(원주민)인 이들을 위해 세계 공통의 서비스를 만들어 내수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포부다.
넷마블은 연내 하나은행배 ‘제2의나라: Cross World(이하 제2의나라)’ 게임 대회를 개최하는 등 하나은행의 모바일 앱 하나원큐와 함께 다양한 공동 마케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넥슨은 그동안 AI, 빅데이터 등의 연구와 개발을 전담하고 있는 ‘인텔리전스랩스’를 중심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모색해왔다. 향후 다양한 연령층의 방대한 데이터와 이용자 행동패턴에 대한 연구 노하우를 기반으로 게임과 금융을 결합한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할 계획이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MZ세대는 일상생활 속에서 친근하게 접하는 요소들이 합쳐질 때 신선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며 “게임업계는 앞으로도 산업의 경계를 허문 새로운 시도를 통해 게임 이용자에게 차별화된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해나가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WC25] SKT, 'K-AI 얼라이언스' 7개사 글로벌 진출 지원
2025-02-24 10:17:42"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인터뷰]“밤 9시까지 AI 열정!”...’KT에이블스쿨 전형’이 신설된 이유는?
2025-02-23 09:00:00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KTX 타면서 렌터카까지"…쏘카, 장거리 이동 트렌드 제시
2025-02-24 10:26:3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브레이버스’, 7월11일 미국 출시
2025-02-24 10:19:17넥슨 ‘FC 온라인’, 이스포츠 대회 개편안 발표… 구단 프랜차이즈 도입
2025-02-24 09:29:13"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신작 시험대, ‘스팀 넥스트 페스트’ 개막… K-게임도 출전 준비 완료
2025-02-23 12:03:00[툰설툰설] 신분차이 로맨스…재벌과의 인터뷰 vs 품격을 배반한다
2025-02-23 11:4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