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인사이트세미콘]
LG화학과 삼성SDI가 27일부터 오는 29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17’에 참가해 차세대 고성능 배터리를 한 자리에 선보였다.
먼저 LG화학은 미래 친환경 도시의 모습을 내세웠다. 관람객은 미세먼지로 가득한 터널 형태의 영상을 지나 전시장 내부로 이동하면 LG화학의 배터리 기술과 제품으로 깨끗하게 정화된 도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에너지 저장에서부터 소비까지의 흐름이 모두 LG화학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자립 도시의 모습을 ‘발전’, ‘가정’, ‘도시’를 주제로 구성해 ‘소형(IT&New Application)’, ‘자동차(Automotive)’,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의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및 주력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워치를 비롯해 웨어러블 기기 알맞게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프리폼 배터리’, 48V(볼트)의 저전압 배터리를 추가해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μ-HEV) 자동차와 충전된 에너지만으로 주행하는 전기차(EV) 등 다양한 친환경차 배터리 라인업, 출력과 에너지밀도를 대폭 향상한 차세대 ESS용 배터리 ‘스탠드얼론 배터리모듈(Stand-alone Battery Module)’을 내세웠다.
삼성SDI는 원형 21700 배터리가 간판이다. 이 제품은 지름 21mm, 높이 70mm로 기존 18650(지름 18mm, 높이 65mm) 대비 용량을 50% 향상시킨 것이다. 21700의 상용화로 기존 18650에 비해 보다 적은 수의 배터리를 연결해 원하는 용량의 배터리 팩을 만들 수 있게 됐다.
ESS 제품으로는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 있도록 배터리 용량을 9.1메가와트아워(MWh)까지 높인 전력용 모델,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가정용 ESS가 주인공이다.
이 외에도 기존 60암페어와워(Ah) 대비 50% 향상된 94Ah 전기차용 배터리도 내놨다.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 받는 전고체 배터리의 기술도 눈길을 끌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적용, 기존 배터리에 비해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게 특징이다.
한편 인터배터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지산업협회와 코엑스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 2차전지산업 전시회다. 올해 행사에는 국내외 약 190여개 업체가 참가한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CJ온스타일, 프리미엄 뷰티 확장 본격화…‘아르마니 뷰티’ 선봬
2025-04-08 14:26:44SKT, 기업은행에 AI 피싱탐지 기술 적용…“사전테스트서 6억원 손실 예방”
2025-04-08 09:46:18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마이리얼트립, 지난해 매출 892억원…첫 연간 흑자 달성
2025-04-08 17:25:56쌓여가는 K-팝 앨범, 예쁜 쓰레기인가요?…새로운 대안 속속 등장
2025-04-08 16:43:20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025-04-08 14:26:28저작권 단체, 문체부 시정 명령 무시...음저협 회장은 보수 79% 인상
2025-04-08 11:0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