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특정 웹 서버에서 다수 발견된 미라이 악성파일은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좀비로 만들어 네트워크상에서 해커가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봇넷(BotNet)의 일종이다. 지난해 하반기 해외 인터넷 도메인 서비스 업체 ‘다인(Dyn)’을 공격해 미국 동부지역의 인터넷을 마비시킨 사상 최대 디도스 공격의 주범이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는 미라이 악성파일이 주로 보안이 취약한 전세계 IoT 기기들을 감염시켜 디도스 공격의 거점으로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인터넷에 연결된 각종 IoT 기기들이 디도스 공격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된 대표적인 사례다.
다만 국내에서 발견된 미라이 악성파일은 IoT 기기가 아닌 특정 웹사이트를 해킹해 은밀히 숨겨져 있었다. 향후 미라이 악성파일이 IoT 기기 외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포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해 철저한 대비와 주의가 필요하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협력해 침해사고가 발생한 웹 서버에 보안 조치를 진행하고 있으며, 발견된 미라이 악성 파일은 현재 알약(ALYac)에서 ‘Backdoor.Linux.Mirai’ 등의 이름으로 탐지 및 치료하고 있다.
김준섭 이스트시큐리티 부사장은 “인터넷에 연결된 IoT 기기 기반 디도스 공격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보안 위협이 되고, 다양한 형태로 공격이 이어질 것”이라며 “한국은 세계 디도스 공격 주요 발원지 중 상위에 올라있을 정도로 웹 서비스 보안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는 편이기 때문에, IoT 디바이스 제조업체와 웹서버 관리자들은 보안 강화에 한층 더 깊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로밍고객, 오늘(12일)부터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가능”
2025-05-12 10:57:39CJ온스타일, 모바일 라방 IP 진용 갖췄다∙∙∙박세리∙오스틴강 출격
2025-05-12 10:56:47[IT클로즈업] “위약금 면제는 시작일뿐”…SKT가 망설이는 이유
2025-05-12 10:36:10LGU+, ‘환승구독2’ 출시…“8개 방송사 콘텐츠, 하나의 요금제로”
2025-05-12 09:29:24“해외서도 응급의료 상담 가능”…LGU+, 소방청과 '안전·연결' 캠페인 진행
2025-05-11 12:00:00[OTT레이더] 강하늘X고민시의 쓰리스타 로맨스, 넷플릭스 '당신의 맛'
2025-05-11 11:54:28예스24, 첫 컬러 e북 리더기 '크레마 팔레트' 선보인다
2025-05-12 11:07:14"뮤지컬부터 야구까지"…놀유니버스, 공연ᆞ스포츠 티켓 이벤트 진행
2025-05-12 10:39:56올림플래닛, 'XR 팬덤 플랫폼' 활용 GMAFF 지원 사격
2025-05-12 10:38:55"오늘부터 최대 80% 할인"…무신사, '뷰티 페스타' 돌입
2025-05-12 09:12:32[툰설툰설] '파격'과 '격정'의 콜라보…개꿈 vs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
2025-05-11 15:07:38[네카오는 지금] 1분기 엇갈린 성적표…AI 전략으로 반전 노린다
2025-05-11 1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