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앱은 화면상에서는 보이지 않는 동작인 백그라운드로 실행돼 구글클라우드메시징(GCM) 서비스를 통해 공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공격을 수행한다.
하우리에 따르면 이 앱은 명령에 따라 문자메시지(SMS), 페이스북 메신저, 구글 행아웃, 스카이프, 지메일, 바이버, 왓츠 앱 등의 메시지 데이터를 유출할 수 있다. 또한 전화 통화 녹음, 음성 녹취, 사진 유출, 스크린 캡쳐 등의 기능도 가능하다.
특히 악성 앱은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백그라운드 서비스들을 종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제조사의 ‘전력 관리 서비스(SPCM)’를 강제로 무력화 한다. 이를 통해 악성 앱은 종료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동작해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김용훈 모바일대응팀 주임연구원은 “해당 스파이 앱은 기업을 대상으로 위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며 “기업의 기밀자료, 회의 녹음 등의 정보를 유출해 금전적인 요구를 할 수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하우리 바이로봇 모바일에서는 해당 스파이 앱을 ‘Monitor.Exaspy’의 진단명으로 탐지 및 치료하고 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FAST 동맹 닻 올려…"K-콘텐츠 강화 위해 민관 뭉쳤다"
2025-04-23 18:01:24민주당 정보통신특위, 통신인프라 현안점검…KT혜화국사 현장방문
2025-04-23 17:31:34[DD퇴근길] MS·베데스다 또 그러네…‘엘더스크롤4 리마스터’, 한국선 이용 못해
2025-04-23 17:13:01[IT클로즈업] AI 태운 통신장비…韓 통신사, 장비 효율화·자동화 ‘집중’
2025-04-23 17:10:54넷플릭스 '탄금' vs 디즈니+ '나인퍼즐'…5월 韓 오리지널 격돌
2025-04-24 11:34:24문체부, 애니메이션 산업에 1500억원 투자한다…‘IP 강국’ 도약 시동
2025-04-24 11:29:42놀유니버스, NOL 브랜드 출범 기념 ‘NOL 페스티벌’ 국내편 개최
2025-04-24 10:27:55민주당 게임특위, 이스포츠 산업계 의견 경청… “국가 차원 정책 필요”
2025-04-24 10:06:51엔씨소프트, 정기 헌혈 캠페인 진행… 헌혈 기부 문화 확산 나선다
2025-04-24 09:3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