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법제도/정책

“머신러닝으로 공격 분석” 정부, 내년 국가 사이버보안 R&D 1003억 투입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머신러닝을 활용한 사이버공격 분석 방안이 제시되고, 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자 보안 기술이 본격 개발된다. 사이버 위협 억제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기술 격차 해소를 위해 정부는 내년 국가 사이버보안 연구개발(R&D)에 총 1003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각 분야별 보안요구에 부응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 기관 협력을 통해 ‘국가 사이버보안 R&D 추진계획’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12월부터 미래부, 국정원, 국방부, 경찰 등은 ‘국가사이버보안 R&D 조정협의회’를 운영해 왔다.

정보통신 인프라가 확산되고, 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이버 공격도 진화하고 피해 때 막대한 경제·사회적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최근 4년간 사이버 보안 연구개발 예산을 연평균 20%씩 증액해 왔으나, 선진국 대비 기술격차(약 2년)은 여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보안 요구가 증가해 개별 부처 차원의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사이버보안 분야에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응용기술 개발에 주력키로 했다. 이와 관련 미래부는 타 부처와 공동으로 기획해 내놓은 신규 과제에 약 290억원을 투입한다. 기존 과제를 포함한 내년도 전체 미래부 국가 사이버보안 R&D 예산은 546억원이며, 타 부처의 457억원 예산과 합하면 총 1003억원에 달한다.

우선, 정부는 지능형 탐지·예측 기술 개발을 위한 내년도 투입예산을 28억원으로 산정했다. 집행한다. 투입한다. 머신러닝을 통한 유사 사이버공격 분석 및 프로파일링 기술, 위험도 분석 기술 및 위험 예측 기술 등을 개발한다.

능동형 자가방어 기술 개발의 경우, 38억원이 투입된다. 사이버위협이 지능화됨에 따라 매번 각 위협에 직접 대응하던 체계에서 벗어나 능동적·자동적으로 방어하는 체계로 전략을 전환한 필요가 제기된다. 이에 소프트웨어 취약점 자동분석·치유, 네트워크 구성 자동 변경, 난독화, 데이터 분산 배치 등 시스템 정보를 은닉시키는 지능형 사이버 자가방어 기술을 개발한다.

미래부에 따르면 국방부 제안사항을 민간수요까지 확대 고려해 기술개발사항을 발굴하고, 인공지능 해킹대회를 활용해 머신(로봇) 기반 사이버공격·대응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

차세대 암호기술도 개발된다. 정부는 정보 유출 가능성을 원천 봉쇄할 수 있도록 양자암호 및 차세대 암호기술과 암호 적용 시스템의 안전성 분석 기술 개발을 위해 65억5000만원을 내년도 예산으로 잡았다.

이와 함께 사회적 이슈로 대두된 랜섬웨어·금융사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도 개발된다. 정부는 랜섬웨어 대응 기술과 블록체인 활용 인증 기술 및 사용자 친화형 무자각·무인지 보안기술 개발에 80억5000만원을 쏟는다.

아울러, 데이터 비식별화와 IoT·자율주행차 보안 기술 및 차세대 인증기술,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기술 개발에는 43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국가차원의 사이버 보안 기술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국가 사이버 보안 R&D 조정협의회와 민관협력 정보보호 R&D 기술공유협의체 역할을 강화하고, 선진국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글로벌 보안 선진국 및 해외 우수연구자와의 공동연구 규모를 2018년까지 2배로 확대한다. 올해에는 20억원이 집행됐으며 2017년에는 국제공동연구를 35억원 규모로 늘린다. 또, 미국 외 이스라엘·유럽 등 공동 연구 국가를 신규 발굴한다. 중동·동남아·중미 등 정보보호 수출 거점국가와의 국제 공동연구도 진행한다.

미래부 측은 이번 정책을 통해 “정보보호 기반 강화를 통한 사이버공격 피해가 감소할 것”이라며 “산업계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해외진출 활성화와 신성장동력 창출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