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스크가 차세대 메모리 후보 가운데 하나인 저항변화메모리(Re램) 개발을 위한 재료 테스트에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 ‘랩뷰’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는 4일(현지시각)까지 미국 오스틴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는 ‘NI위크 2016’에서 샌디스크 후안 사에즈 수석 디바이스 엔지니어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인 저항변화메모리를 개발하기 위해 HPE와 협력해왔다”며 “Re램은 낸드플래시와 1000배 이상 빠르고 D램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집적도가 높다”고 말했다.
샌디스크가 개발하고 있는 Re램은 도시바와의 합작품이다. 전기적 저항 특성이 외부 전압이나 전류에 따라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가운데 하나이며 스핀주입자화반전메모리(STT-M램), 상변화메모리(P램), 3D 크로스(X) 포인트와 함께 차세대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다.
샌디스크는 Re램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 테스트가 기존 박스형 계측기로는 6개월이 걸렸으나 NI 랩뷰와 PXI 시스템을 활용해 작업시간을 2주로 단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Re램도 낸드플래시와 마찬가지로 전하가 이동하고 저장되는 재료 개발이 필수적으로 수많은 테스트를 통해 적당한 성능과 가격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찾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뽑아내야 한다.
한편 샌디스크가 Re램 개발에 속도를 내면서 차세대 메모리 경쟁이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인텔은 하반기 3D X포인트, 내년에는 48단 낸드플래시 양산에 돌입한다. SK하이닉스는 올해 48단 낸드플래시 개발을 완료, 양산을 앞두고 있다. 이 시장 선두인 삼성전자는 올해 64단 V낸드 개발을 완료하고 차세대 메모리 개발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오스틴(미국)=이수환 기자>shulee@insightsemicon.com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황금연휴 앞두고 비상…유심보호서비스 2.0 나온다
2025-04-29 10:45:09“SKT 해킹, 9.7GB 유출 가능성”…정보보호인증 제도 실효성 지적도
2025-04-29 10:44:36CJ온스타일, 제2의 에이피알 키운다…K뷰티 강자 ‘비나우’ 30억원 투자
2025-04-29 10:44:13정부, 유무선통신장비 정비 2단계 사업 돌입...“거리 미관·안전 사수”
2025-04-29 10:30:00KT, 공공분야 맞춤 AX 특화 사업 공략…한글과컴퓨터와 동맹
2025-04-29 09:58:14LGU+, '가정의 달' 맞이 U+tv콘텐츠 프로모션 진행
2025-04-29 09:50:57문화사업 30주년 CJ ENM…"온리원 정신 되새겨 글로벌 원년 도약"
2025-04-29 10:50:08캐치테이블, 권재홍 전 배민 COO 영입…“요식업 슈퍼플랫폼 도약 본격화”
2025-04-29 10:46:23[일문일답] 네이버 멤버십에 넷플 추가했더니…"3040 男 닫힌 지갑 열렸다"
2025-04-29 10:40:21SOOP, 1분기 영업익 전년비 14.8%↑…광고·플랫폼 '쌍끌이'
2025-04-29 10:09:56카카오엔터 팬플랫폼 '베리즈', 몬스타엑스·아이유 커뮤니티 연다
2025-04-29 09: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