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티스반도체(www.latticesemi.com 지사장 이종화)는 27일 모바일 CMOS 이미지센서(CIS)와 디스플레이 관련 주요 최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크로스링크’ 프로그래머블 브리지 디바이스를 발표했다.
임베디드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시스템은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거나 지원하더라도 그 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다. 브리지 인터페이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이다. 크로스링크는 프로그래머블반도체(FPGA)의 유연성과 신속성, 특정용도 반도체(ASSP)의 저전력 및 기능 최적화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래티스는 ‘pASSP’라고 따로 이름을 붙였다. FPGA와 ASSP 중간에 있는 일종의 하이브리드 반도체라고 보면 된다.
크로스링크는 대역폭 확장과 함께 전력소비량을 낮춰야 하는 제품에 적당하다.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전통적인 스마트 기기를 비롯해 가상현실(VR) 헤드셋, 드론,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울트라HD(UHD)를 위해 최대 12Gbps의 대역폭을 제공하며 2.5mm×2.5mm 풋프린트오 0.4mm 패키지 피치(간격)을 가지고 있어 소형 스마트 기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했다.
래티스반도체 모바일 및 컨슈머 사업부 수브라 찬드라모울리 마케팅 디렉터는 “FPGA는 빠른 타임투마켓(출시기기)을 위한 높은 유연성을 제공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의 입장에서 원하는 로직(논리)을 가지고 FPGA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성능과 소형화를 중요시하는 경우에는 ASSP를 선택해왔다”며 “크로스링크는 FPGA와 ASSP의 장점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수환 기자>shulee@insightsemicon.com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시 제기된 'SKT IMEI 유출' 우려…웹셸이 해커 통로됐나(종합)
2025-05-19 16:56:53국회 과방위 “해킹사태, 정부 조사결과 신뢰 어려워…SKT에 배상책임 물을 것”
2025-05-19 16:54:42SKT 해킹, 웹셸서 비롯됐나…“임시서버 보안조치 강화하겠다”
2025-05-19 15:32:33SKT “추가 정보유출, 확인된 바 없다”…2차피해 발생 시 100% 책임
2025-05-19 15:05:22정부 “SKT, IMEI 유출 가능성 있지만…복제폰 생성은 불가”
2025-05-19 13:57:12SKT 해킹서 IMEI 포함된 서버 감염 확인…"유출 여부는 확인 안돼"
2025-05-19 11:09:50[DD퇴근길] 쿠팡 따라잡기? 배민, '티빙 결합상품' 내놓는다
2025-05-19 17:13:45"슈퍼 SON 한 번 더"…쿠팡플레이 시리즈, '토트넘 핫스퍼' 온다
2025-05-19 16:20:55"오리지널이 효자네"…'샤크: 더 스톰', 티빙 유료가입기여자 수 1위
2025-05-19 16:20:37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출시 5일 만에 양대마켓 매출 1위 달성
2025-05-19 16:15:58펄어비스, '붉은사막' 엔비디아 최신 기술 DLSS 4 적용
2025-05-19 15:3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