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 사람, 경험을 녹여낸 혁신
- 필요한 부분은 과감한 투자, 혁신선도 우수사업장 인증까지
[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미세먼지, 황사가 계절을 가리지 않고 들끓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예전과 같이 특정 시기에만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제습기도 마찬가지여서 굳이 여름뿐 아니라 겨울에도 사용할 정도로 활용도가 높아졌다.
코웨이는 이런 변화무쌍한 환경과 기후변화에 따라 진화하고 있는 기업 가운데 하나다. 환경가전 생산기지 코웨이 ‘유구공장’이 대표적이다. 충남 공주시 유구읍에 위치한 이곳은 지난 1994년 4월에 준공이 완료된 이후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신개념 셀라인 등 고유의 생산라인이 구축되어 있다. 20년 동안 코웨이의 혁신이 이뤄지고 있는 현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먼저 둘러본 곳은 필터 생산라인. 국내에 다양한 정수기가 판매되고 있지만 핵심인 필터를 자체 생산해 공급할 수 있는 곳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특히 코웨이는 최근 정수기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나노트랩(NANO Trap)’ 필터를 유일하게 자체 개발해 생산하고 있다. 나노트랩은 기존에 사용하던 ‘중공사막(Hollow Fiber Membrane)’과 ‘역삼투압(RO Membrane)’의 장점을 두루 갖춰 풍부한 유량을 유지하면서도 바이러스와 세균 등을 99% 이상 제거가 가능하다. 정수기의 성능이 결국 필터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근본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셈이다.
혁신의 상징인 유구공장답게 필터 생산에 있어서도 다양한 생산기술이 도입되어 왔다. 예컨대 늘어나는 필터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터 표준화를 추진한 것을 꼽을 수 있다. 따로 장착됐던 세디먼트와 네오센스 필터를 네오센스 필터로 단일화 시킨 것. 여기에 중간에 발생하는 분진을 최소화하고 신공정 도입으로 물세척과 건조 공정을 삭제한 ‘신 플러싱 기술’ 등 꾸준한 혁신이 이뤄지고 있다. 이를 통해 생산캐파 109%, 1인당 생산성 372%를 높일 수 있었다. 반대로 가공비 76%, 작업인원 50% 절감 효과를 봤다. 제조비용 절감 효과는 무려 연간 24억4000만원에 달한다.
유구공장의 혁신은 결국 사람에서 나온다. 말이 좋아 컨베이어벨트 생산방식을 대체한 셀라인이지 따지고 보면 상당한 전문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는 오로지 장인정신을 갖춘 전문인력이 아니면 해결이 어렵다. 셀라인은 소규모 인원이 조립에서 검사까지 일괄 담당한다. 코웨이의 경우 기존 작업만 하는 셀라인에서 벗어나 자체적으로 필요한 부가적인 설비나, 작업대 등을 셀라인에 접목해 생산효율을 높였다. 사람과 설비를 적절히 조합했다고 보면 된다.
코웨이가 도입한 사람에 대한 혁신으로는 ‘클러스터 A3’, ‘아메바 학습조직’ 등이 있다. 클러스터 A3는 전 구성원(All)이 열정적(Ambition)으로 즉실천(Action)하는 철학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전원 참여의 자주개선 문화 구축이 핵심이다. 생산성, 품질, 작업성, 산업안전, 작업환경에 있어 조직 구성원이 스스로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했다. 아메바 학습조직도 마찬가지다. 계층간, 분야별, 수직‧수평 커뮤니케이션과 DNA를 전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코웨이는 국제안전인증센터를 마련해 비용은 연간 2억원 이상, 시간은 5개월 가량 줄였다. 세계적인 설비를 갖춘 덕에 코웨이에 제품 인증을 맡기는 경우도 흔하다. 오히려 다른 인증센터에서 보유하지 못한 테스트까지 가능해 어떤 형태의 인증이 도입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라인수 코웨이 생산운영본부장은 “유구공장의 혁신정신이 코웨이의 지속적인 성장의 토대가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생산현장 혁신에 박차를 가해 세계 최대 환경가전 생산기지의 명성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유구(충남 공주시)=이수환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진짜 ‘5G 가입자’ 몇명일까…정부, 가입자 집계 기준 변경 검토
2025-02-24 16:33:20[MWC25] SKT, 'K-AI 얼라이언스' 7개사 글로벌 진출 지원
2025-02-24 10:17:42"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카톡 선물·야놀자 예약, AI가 한다"…오픈AI, '오퍼레이터' 국내 첫 도입
2025-02-24 14:00:37"3D 아바타 만나는 가상도시"…마와리, AI·XR 더한 '난바 프로젝트' 가동
2025-02-24 11:35:40넥슨 ‘던전앤파이터’, 중천으로 재도약… 바통은 ‘카잔’으로
2025-02-24 11:30:05"KTX 타면서 렌터카까지"…쏘카, 장거리 이동 트렌드 제시
2025-02-24 10:2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