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콘텐츠

창조산업, 핵심은 ‘창작자’…민간-정부 간 연결 플랫폼 필요

-

 유럽서 패션·디자인·뉴미디어·디지털콘텐츠 등 산업 지원 시작돼
- 인재 지원에 초점…기업과 정책 입안자 간 다리 역할 중요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문화체육관광부(원장 유진룡)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홍상표)이 주관하는 ‘2013 창조산업 전략포럼 해외연사 초청 세미나’가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이날 세미나는 영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의 현지 전문가들이 창조산업 현황을 전하는 자리였다. 이혜경 킹스칼리지런던 문화미디어창조산업학과 교수<사진 왼쪽부터>와 린 매카든 영국 크리에이티브잉글랜드 비즈니스 개발본부장, 바스티안 랑에 독일 멀티플리시티즈(Multiplicities) 컨설팅·연구기관 대표가 발표를 맡았다.

먼저 발표에 나선 이혜경 교수는 창조산업을 설명하면서 “창조산업의 핵심은 창조적 인력으로 문화예술의 생산자”라고 힘줘 말했다.

린 매카트니 본부장도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크리에이티브잉글랜드의 역할을 설명하면서 “인재 지원에 초점을 둔다. 좋은 아이디어를 지원하고 실패를 해도 적극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지원 현황을 전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창조산업의 정의는 유럽에서도 나라마다 다르다. 북유럽에서는 예술과 대중문화, 레저 등이 창조산업의 중심이라면 유럽연합(EU)에서는 창조산업의 개념이 실용 산업에 국한돼 쓰인다. 때문에 EU에서는 문화창조산업이라는 말을 따로 사용한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이 교수는 “창조산업을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공통된 추세는 있다. EU 나라들의 중앙정부에서 (창조산업 지원을 위한) 기관을 설치한다는 것”이라며 “한국의 KOCCA(한국콘텐츠진흥원)와 비슷한 기관이 수년동안 여기저기 생겼다”고 현황을 전했다..

이어서 이 교수는 “구체적 정책은 지방도시 차원에서 이뤄진다”며 “한 예로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는 창조산업의 중소·신생기업을 지원하고 패션산업도 지원을 개시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최근 유럽에서도 창조산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주로 패션과 디자인, 뉴미디어,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생기고 있다.

교육과 인큐베이팅(기업육성) 분야에서는 해당 지역 대학의 역할이 중요시되는 추세다. 런던의 한 예술대학에서는 EU의 지역균형개발기금의 지원받아 문화예술가에게 시설을 제공하고 정책입안자와 기업 간 네트워킹을 주선하고 있다.

이 교수는 현재 EU가 추진하는 바우처(지불보증전표)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EU가 유럽의 4개 도시를 선정해 제조업 등 일반 산업분야 기업에 5000유로 정도의 바우처를 지급하는데, 바우처의 사용 분야를 창조산업의 서비스나 컨설팅 상품으로 제한한 프로그램이다.

그는 현지 분위기에 대해 “창조산업이 타 산업에도 창조성과 혁신성이 이전된다는 믿음이 있다”며 “연관산업의 시너지를 올리려는 것이 주 목적”이라고 EU 프로그램 취지를 설명했다.

뒤이어 발표한 린 매카트니 본부장은 기업 간 또는 민간과 정부 간 네트워킹을 강조했다.

매카트니 본부장은 영국 버밍험 도서관의 사례를 들면서 “(크리에이티브잉글랜드는) 공공부문과 창조적 커뮤니티를 연결시켜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며 “이를 위해 공모전을 진행했고 30여명의 슈트힐이라는 작은 회사의 데이터시각화 기술을 사용해 도서관 정보 검색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그는 “18년간 업무하면서 얻은 교훈은 새로운 시장의 바이어와 기업의 파트너십이 연결되면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라며 “디지털기업이 리더십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시장에 진출하도록 하고 지적재산권을 구축, 공유하는데 있어 새로운 사고방식을 갖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바스티안 랑에 대표도 창조산업 활성화를 위해 민간과 정부 간 중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멀티플라이시티즈 역할에 대해 “보톰업(민간주도)식 창조적 노력이 이뤄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도가 네트워킹 없이 따로 일어난다”며 “정책 입안자들에게 어떠한 창조적 일이 일어나는지 보여주고 (기업과) 커뮤니케이션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랑에 대표는 “대화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실제 만드는 노력들이 일어날 수 있게 협업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등 기회를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