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민형기자] 대통령선거를 50여일 앞 둔 현재, IT업계에서 가장 큰 관심은 대선 후보들의 ICT 정책에 몰려있다. 대선 후보들의 ICT 정책은 향후 5년간의 대한민국 IT의 청사진이다. 이 때문에 IT현업인의 눈은 자연스레 후보들의 정책에 쏠릴 수 밖에 없다.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지난 30일 서울 상암동 중소기업DMC타워에서 열린 ICT대연합 주최 초청간담회에 참석해 ICT 산업 육성을 위한 다섯 가지 비전을 제시했다.
박 후보는 개방과 공유 정신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 창조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슬로건하에 하드웨어 기반의 ICT와 소프트웨어 ICT 서비스 산업의 균형, 양질의 청년 ICT 일자리 창출, 방송 산업의 성장 추진 등을 방안으로 꼽았다.
또 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부 업무를 총괄하는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고 IT를 산업 전반에 적용하는 스마트뉴딜 정책을 시행으로 일자리를 창출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지난 15일 간담회에서 ICT콘트롤타워의 부활과 인터넷을 자유와 공유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는 “온라인 세상은 기본적으로 자유로운 세상이며, 이를 공권력으로 통제하려는 시도는 있어서도 안 되고 또 가능하지도 않다”고 말하며 표현의 자유 보장을 강조하는 한편, “창업 활성화, 청년 창업 지원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인터넷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안철수 무소속 후보는 지식정보 산업과 융합한 제조업이 신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일자리 해소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 후보의 공통점은 개방, 공유, 융합을 통한 새로운 모델(ICT 부처 등)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IT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지난 17대 대선 후보들의 공약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명박 정부는 ICT산업 발전을 위해 파격적인 정부부처 통폐합을 시도했다. 대표적인 예가 방송통신위원회다. 그러나 방통위는 생각했던 만큼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진정 ICT산업 부흥을 꿈꾼다면 선언과 같은 ‘수박겉핥기’ 식의 공약은 의미가 없다. 어떤 방법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생태계는 어떻게 구축해갈 것인지 등 자세한 내용을 논의해봐야 할 것이다.
<이민형 기자>kiku@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WC25] SKT, 'K-AI 얼라이언스' 7개사 글로벌 진출 지원
2025-02-24 10:17:42"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인터뷰]“밤 9시까지 AI 열정!”...’KT에이블스쿨 전형’이 신설된 이유는?
2025-02-23 09:00:00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카톡 선물·야놀자 예약, AI가 한다"…오픈AI, '오퍼레이터' 국내 첫 도입
2025-02-24 14:00:37"3D 아바타 만나는 가상도시"…마와리, AI·XR 더한 '난바 프로젝트' 가동
2025-02-24 11:35:40넥슨 ‘던전앤파이터’, 중천으로 재도약… 바통은 ‘카잔’으로
2025-02-24 11:30:05"KTX 타면서 렌터카까지"…쏘카, 장거리 이동 트렌드 제시
2025-02-24 10:26:3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브레이버스’, 7월11일 미국 출시
2025-02-24 10:19:17넥슨 ‘FC 온라인’, 이스포츠 대회 개편안 발표… 구단 프랜차이즈 도입
2025-02-24 09:2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