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특집

민주노동당, 뉴미디어 정책 정당 ‘급부상’

공개세미나 등 2006년도 미디어정책 연구에 매진

10일 오전 개최된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와 천영세 의원의 기자 회견에서 제시된, 지상파DMB 공영화 및 뉴미디어 난개발과 관련된 각종 정책대안들은 민주노동당이 지난해부터 이 주제를 놓고 꾸준한 연구작업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와 천영세 의원은 지난해 말부터 문화연대, 언론개혁시민연대, 미디액트, 민중언론참세상, 한국독립영화협회 등 미디어 관련 단체와 함께 뉴미디어 난개발의 문제점을 연구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작업을 추진해왔다. 특히 지난 3월 29일 ‘뉴미디어 난개발과 배제된 수용자 권리를 찾아서’ 토론회를 시작으로 뉴미디어의 난개발 문제를 본격 제시했으며, 5월 31일부터 8월 2일까지 모두 열차례에 걸쳐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공공성이란 주제로 ‘뉴미디어 난개발, 그 현실과 대안’ 화요 공개세미나를 진행한 바 있다. 이처럼 민주노동당은 치열하게 토론하고 연구된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 국정감사에서 뉴미디어 난개발의 문제점을 정면으로 폭로하는 한편, 가장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10일 기자회견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바탕으로 뉴미디어 환경에서 수용자 중심의 미디어 정책 즉 미디어의 공공성과 관련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첫 신호탄”이라는 것이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의 설명이다. 따라서, 앞으로 민주노동당이 제시할 미디어 공공성 정책 대안의 첫 번째 주제가 바로 ‘지상파DMB의 공영방송화’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동당은 그 동안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10월 말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지상파 공영방송’, 12월 말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공공적 미디어’를 발표할 계획이며, 내년부터는 ‘공공성에 기반한 신문.방송.통신 융합환경에서의 미디어 전략’을 주제로 본격 연구활동에 돌입한다. 민주노동당은 “미디어를 언론과 방송의 확장된 개념으로 규정하는 한편, 이것이 권력집단과 재벌의 도구로 전락하는 것을 적극 막아내겠다”고 밝히고 있다. 정책위원회는 이날 발표된 보도자료에서 “뉴스와 정보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미디어가 각자의 말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 및 소통하는 여론형성의 도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재철 기자> mykoreaone@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