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넷

‘분식회계 의혹’ SOOP 측 “금감원 조사 맞다…매출 부풀릴 동기 전혀 없어”

[ⓒSOOP]
[ⓒSOOP]

[디지털데일리 왕진화 기자] 실시간 온라인 방송 플랫폼 기업 SOOP이 분식회계 의혹으로 인해 현재 금융감독원의 회계 감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금감원)은 최근 SOOP(숲, 옛 아프리카TV)이 수백억원 규모의 분식회계를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회계 감리에 착수했다.

SOOP은 광고주에게서 광고를 수주할 경우 SOOP 등 자사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스트리머를 광고 용역 수행자로 섭외하는 방식으로 광고 사업을 진행해 왔다.

광고비의 약 90%는 광고를 제작·수행하는 스트리머에게 지급하고, 숲은 운영비 명목으로 중개 수수료를 받아온 것이다.

금감원은 SOOP이 게임 콘텐츠 광고 매출을 회계 처리하는 과정에서 스트리머에게 지급하는 광고비까지 자사 매출에 포함해 분식회계를 하려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숲은 2021년 회계 감사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지적 받은 적이 있지만, 일부 계약서를 새로 썼다고 전해진다.

SOOP 측은 “금감원 조사는 맞고, 성실히 조사에 임하고 있다”면서 “계약서 변경은 2019년부터 매년 보완해 온 것이고 특별한 목적으로 변경한 것이 아니며, 과거 거래 내용에 맞지 않는 계약서를 차용해 와서, 거래 실질에 맞게 점진적으로 개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금감원에서 살펴보고 있는 게임 콘텐츠 광고 부문 매출은 ▲2020년 약 20억원 ▲2021년 약 120억원 ▲2022년 약 270억원 ▲2023년 약 40억원 ▲2024년 1~3분기 누적 약 110억원이다.

SOOP 측은 기업공개(IPO)나 투자 유치 등 매출을 부풀릴 동기가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SOOP 전체 매출 대비 게임 콘텐츠 광고 부문 매출 비중은 크지 않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SOOP 관계자는 “과거 회계법인이 외부감사 과정에서 게임 콘텐츠 광고 계약서 일부 문구를 살펴본 후 의문이 있어 추가적인 자료와 거래실질을 확인한 후 총액으로 인식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한 사례는 있다”면서도 “다만 과거 회계법인이 외부감사 과정에서 총액이 아니라 순액으로 인식하라고 문제를 지적한 사실이 없으며, 당연히 당사가 이를 임의로 총액으로 처리한 사실도 없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