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조윤정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문제 해결에 국부펀드를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3일(현지시간) AP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오피스에서 국부펀드가 틱톡을 인수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기자들에게 "우리는 아마 틱톡과 무엇을 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틱톡을 국부펀드에 넣을 수도 있고, 다른 부유한 사람들과 협력할 수도 있는 등 많은 선택지가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앞서 지난달 20일 취임한 뒤 의회가 지난해 통과시킨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했다. 이후 틱톡의 지분 50%를 미국 측에 넘기면 미국 영업을 허가하겠다고 제안했다. 틱톡은 미국 사업권 매각 의사가 없다고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틱톡 인수에 대해 여러 사람과 논의 중이며 30일 이내 틱톡의 미래에 대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마감시한을 앞당겼다.
현재 LA다저스 전 구단주이자 미국의 부동산 재벌 프랭크 맥코트와 트럼프 행정부의 스티븐 므누신 전 재무장관을 비롯한 미국 투자자들이 틱톡 인수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상태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도 지난달 바이트댄스에 틱톡의 미국 법인과 퍼플렉시티 사업을 결합한 법인의 지분을 최대 50%까지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AP통신이 보도한 바 있다.
해당 제안이 받아드려질 경우 틱톡이 최소 3000억달러(한화로 약 418조원)의 가치로 기업공개(IPO)를 하면 미국 정부는 해당 기업에 상당한 지분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식에 배석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향후 12개월 이내에 국부펀드를 신설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이 나라가 국부펀드를 가질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며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의 펀드 규모를 언젠가 따라잡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부펀드는 주식, 채권, 부동산과 같은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로, 국가의 예산 잉여금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그러나 미 연방정부가 재정적자를 겪고 있어 설립 재원 마련 방식이 불투명하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촉발된 'AI 저작권'…"법·정책 논의 필요해"
2025-05-20 17:15:02"JTBC 중계권 입찰 문제없다"…법원, 지상파 3사 가처분 기각
2025-05-20 16:47:18우주청,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실무자 교육…"공공서비스 적용 확대"
2025-05-20 16:08:37[NSIS 2025] SKT 해킹 충격…과기정통부, "새로운 정보보호체계 마련"
2025-05-20 15:37:44[NSIS 2025] SKB "양자기술 이용한 공격? 양자로 막는다"
2025-05-20 15:17:26크래프톤, 110억원 기부로 카이스트에 교육·연구 공간 건립
2025-05-20 18:15:20"폭싹 속았수다도 참여했는데"…韓 VFX 상장사, '적자 늪' 여전
2025-05-20 17:40:14카카오엔터 장윤중 공동대표, 빌보드 '2025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 선정
2025-05-20 17:15:13게임위, '발라트로' 등급 재결정…'청불'서 '15세 이용가'로
2025-05-20 16:41:29[NSIS 2025] 세일포인트 "보안의 중심은 이제 '아이덴티티'…권한 기반 보안 강조
2025-05-20 15:49:13‘크리에이터 전성시대’…1인 콘텐츠 넘어 이제는 플랫폼이 키운다
2025-05-20 15: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