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국내 AI 기업 솔트룩스에서 스핀오프로 설립된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구버(Goover)'는 동명의 자사 서비스가 프리뷰 버전 공개 한달만에 순조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 솔트룩스]
구버는 전세계 웹에서 최적화된 답변과 출처를 찾아 제시하는 AI 검색 '에스크 구버'와 함께 정보 요약 및 브리핑까지 해주는 AI 에이전트 '브리핑 에이전트'를 생성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AI 에이전트는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정 조건에서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AI가 상황에 따라 결정을 내리고 선제적 활동까지 가능해 기업의 업무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구버에서 생성된 AI 에이전트는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스스로 자동 업데이트해 사용자가 다시 검색하지 않아도 항상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현재 구버에 내 생성된 AI 에이전트의 개수는 3만개에 달한다. 하루에 약 1000개의 AI 에이전트가 생성된 셈이다. 자동생성 AI리포트는 약 15만건이 생성됐다. 이는 퍼플렉시티나 챗GPT 서치에 없는 구버의 주요 기능이다. 에스크 구버와의 문답을 기반으로 AI가 단 2~3분 만에 완성도 높은 구조의 리포트를 생성한다. 소셜미디어 포스팅, 비교리포트, 투자리포트 등 형식과 더불어 비즈니스와 에세이 스타일 등 글의 톤 지정도 가능해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이밖에 구버는 최근 보안에 무게를 둔 기업 전용 '구버 엔터프라이즈'를 클라우드와 어플라이언스, 온프레미스 형태로 출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업용 AI 서비스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편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마켓앤마켓이 2030년까지 약 68조원 규모로 성장을 전망한 AI 에이전트 시장을 둔 구글과 오픈AI 등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구버 조슈아 배 법인장은 "1인당 유입되는 정보의 양이 막대한 상황에서 나 대신 정보를 찾고 분석해서 브리핑과 보고서를 제공하는 구버는 인류가 지식노동에 쏟는 시간을 완전히 혁신할 것"이라며 "2025년부터 국내 및 해외에서 본격적인 홍보 마케팅을 진행하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글로벌 AI 에이전트 플랫폼의 입지를 굳혀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딜라이트닷넷] 통신3사, ‘AI 브랜드’ 강화 나섰다…AI 전문기업 전환 속도
2025-04-11 17:31:18'ICT 협력채널' 한일중 ICT 장관회의 개최…7년만에 재개
2025-04-11 17:13:15[전문가기고] “지역경제 숨통, 케이블TV 지역광고 규제완화가 마중물”
2025-04-11 14:32:28"너흰 못 보는데 왜"…中 휩쓴 '폭싹 속았수다' 김선호 챌린지
2025-04-11 13:49:19CJ온스타일, 컴온스타일 기간 뷰티∙식품 거래액 ‘쑤욱’
2025-04-11 10:59:32카카오 김범수, 재판 불출석…"수술 회복중, 당분간 참석 어려워"
2025-04-11 18:13:14[DD퇴근길] 점유율 높인 '쿠팡이츠서비스', 영업이익률이 1.1% 라고?
2025-04-11 17:14:55"장애인 여행객도 자유롭게"…놀유니버스, 무장애 여행 캠페인 진행
2025-04-11 17:13:39하이브·경기북부청 공조…아티스트 딥페이크 범죄 피의자 검거
2025-04-11 17:12:56카카오, OECD 회의서 '상권 살리기' 성과 발표…"단골 1만명 확보"
2025-04-11 16:19:48[빅테크 24시] 인스타그램 "Z세대 놓칠라"…틱톡따라 검색 개편
2025-04-11 16: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