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핀다(공동대표 이혜민·박홍민)는 지난 7월, 8월 기준 도합 당기순이익 약 2억4624만원을 기록했으며, 8월에는 영업이익 흑자전환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흑자 전환은 핀다가 지난해부터 비용 효율화 경영 전략을 펼쳐온 것이 주효했다. 지난 2022년 연간 결산 기준 매출 434억원, 영업적자 216억원을 기록했던 핀다는 2023년부터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마케팅을 포함한 비용 효율화 경영 전략을 택했다. 올해 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판매관리비를 24% 줄였으며, 특히 광고선전비를 약 40% 가까이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케팅 효율은 1.7배 향상됐을 뿐만 아니라 매출도 4% 이상 향상됐다는 것이 핀다 측 분석이다.
핀다가 설립 이래 첫 적자를 낸 것은 지난 2022년부터다. 그해 핀다가 인공지능(AI) 상권분석 서비스 기업 오픈업을 100% 인수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한 이용자 확보에 나서는 등 투자를 단행했던 게 주된 원인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핀다는 올 한 해 동안 매 분기마다 평균 약 16억8000만원씩 적자 폭을 개선하기 시작해 지난 8월 흑자를 달성했다. 특히, 올해 1분기와 비교하면 올해 3분기에만 영업 적자 폭은 10배 이상 줄어들었고, 당기순손실 폭 역시 32배 이상 감소하며 경영지표가 개선됐다는 것이 회사 측 분석이다.
핀다는 대출 비교 서비스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올해 4분기 흑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오는 2025년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 준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지난 2022년 말부터 불어닥친 고금리 기조와 여러 차례 대출 규제 등 거시적 경영 환경이 우호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핀다는 지난 2년 동안 내부적으로 데이터 기반 마케팅 노하우를 쌓아 마케팅 효율을 더욱 정교화시키고 핀다 앱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가며 내실 다지기에 주력했다”며 “건강한 재무건전성을 기반으로 내년에는 대출 비교 서비스 외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신규 사업을 확장하고 오픈업 서비스를 고도화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금융 서비스에 과감한 투자를 계획하고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DD퇴근길] "세상에서 가장 얇은 폰"…삼성, '갤럭시 언팩'서 보여준다
2025-05-12 17:17:23[컨콜] SKT, 대규모 고객 이탈에 “신뢰 확보 위한 비용 지불 불가피”
2025-05-12 17:08:02라이즈, 엠넷플러스 오리지널 예능 '숨바꼭질' 세 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5-12 17:54:22kt밀리의서재, 창사 이래 분기 최대 실적…'텍스트힙' 열풍 통했나
2025-05-12 17:54:08구글, 또 다시 지도 반출 요청…“국가 경쟁력 위태” 산업계·학계 우려
2025-05-12 17:53:33미니쉬테크놀로지, 美 LA서 공개한 '헬스테크' 청사진은?
2025-05-12 17:31:44"흑백요리사2만 믿는다"…'백종원 방송' 편성, 넷플릭스에 달렸다?
2025-05-12 17:19:44